의약 건강
통화시인삼건강식품화장품산업단지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인삼은 예로부터 “백초의 왕”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동방 의학계에서는 “자음보생(滋陰補生), 부정고본(扶正固本)”는 극품으로 칭송받았다. 인삼은 동북 3보의 첫 번째이며, 국내외에 명성이 자자하다. 인삼의 효능에는 원기를 크게 보충하고, 비장과 폐장을 보익하며, 진액을 생성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지혜를 증진하는 등이 있다. 주로 기허욕탈, 비기부족, 중기하함, 천해, 기단핍력, 진상구갈, 소갈, 불면건망, 심계정충, 혈허 등의 병증 치료에 사용된다. 성장 과정에서 인간의 영향을 받는 정도에 따라 야생산삼, 산삼(임하삼, 이산삼), 원삼으로 구분된다.
인삼 건강 식품은 인삼을 주요 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각종 보건 식품을 말하며, 이러한 식품들은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인삼 건강 식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인삼차, 인삼주, 인삼밀편 등을 포함한다.
인삼화장품은 인삼 및 그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스킨케어 제품으로, 다양한 피부 관리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인삼화장품의 종류는 풍부하며 페이스크림, 에센스, 아이크림과 마스크팩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스킨케어 수요에 적합하다.
프로젝트는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에 위치하며 통화시의 풍부한 인삼 자원을 바탕으로 인삼 고형 음료, 인삼 보습 데이크림과 인삼 사포닌을 생산한다.
1.1.2 시장 전망
(1) 인삼 산업 발전 현황
인삼 산업의 가치사슬의 상류에는 인삼 재배업이 포함되며 주요 원재료로는 종묘, 경작지, 비료, 농업 기계, 시설 등이 있다. 중류에는 인삼 가공 기업이 위치하며, 인삼 초가공 업체와 심층 가공 업체로 나뉜다. 하류는 중약 기업과 인삼 제품 소비자로 구성된다.
인삼은 “동북삼보”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백초지왕”으로도 불린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인삼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2023년 중국의 인삼 생산량과 소비량은 각각 91,934톤과 95,67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와 6.2% 증가하였다. 또한, 2023년 중국 인삼 시장 규모는 350억 위안에 달했으며,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국민 생활 수준 향상과 건강 의식 증가에 따라, 인삼을 비롯한 전통 보양 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삼은 길림성이 보유한 천혜의 특색 자원이자, 가장 경쟁력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 길림성은 중국 최대의 인삼생산기지이자 유통 중심지로, 전국 인삼 생산량의 약 60%, 전 세계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장백산 지역 인삼 시장을 통해 거래되는 원료 인삼은 전국 거래량의 약 85%에 달한다. 이러한 점에서 길림성은 중국은 물론 전 세계 인삼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길림성은 인삼 품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정밀·심층 가공 수준을 향상시키고 제품군을 다양화하며 산업 최적화와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거대한 소비 시장을 개척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3년 길림성의 원삼 재배 면적은 14.5만 무이며, 생인삼 생산량은 3.4만 톤이다. 임하삼 재배 면적은 116.5만 무이며, 생인삼 생산량은 781.8톤에 달했다. 2023년 길림성 인삼 산업의 종합 생산액은 708.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하였다. 그중 1차 산업 126.3억 위안, 2차 산업 244.8억 위안, 3차 산업 337.4억 위안으로 별도로 17.8%, 34.6%와 47.6%를 차지했다.
(2) 수요 분석
인삼의 강장 효과, 노화 방지, 두뇌 활성화 등의 전통적 효능은 현대 의학에 의해 입증되었으며, 이를 통해 중의학과 전통 이론에 대한 신뢰도가 더욱 심화되었다. 인삼의 주요 유효 성분에는 사포닌 계열, 비사포닌 계열, 저분자 펩타이드 및 폴리펩타이드, 다당류 등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인삼 사포닌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특히 Rg1과 Rb1의 함량이 높고 활성이 강하며, 다양한 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Rg1과 Rb1은 인삼의 주요 두뇌 활성화 성분으로, Rg1은 기억의 전 과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Rb1은 기억 습득과 기억 재현 과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인삼 사포닌은 의약 산업, 생활용 화장품, 식품 및 사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식품 및 사료 산업에서는 항노화 효과가 있어 건강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인삼의 하류 산업에서 수요가 점점 다양화됨에 따라, 시장에서 인삼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몇 년간 중국 내 인삼 수요는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2028년에는 중국의 생인삼 수요량이 83,739.3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3) 인삼 수출입량
중국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중국의 인삼 관련 제품 총수입량은 변동하며 증가하였고, 수입 금액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2년 중국의 인삼 관련 제품 수입량은 3,693.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19.67톤 증가하여 49배 성장하였으며, 수입 금액은 10,550.39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349만 달러 증가하여 2배 성장하였다. 이러한 수입량 및 수입 금액 증가는 “신선 또는 건조된 서양삼” 수요 증가에 의해 주도되었다. 2023년 중국의 인삼 수입량은 5,753.17톤으로 증가하였으며, 순수입량은 3,582.63톤을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인삼 수입 금액도 무역량 증가에 맞춰12,503.42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중국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2022년, 중국의 인삼 관련 제품 총수출 수량과 총수출 금액은 전반적으로 변동하며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 중국의 인삼 관련 제품 총수출량은 1,803.3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6.36톤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18.87%이다. 총수출 금액은 7,990.07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16.72만 달러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17.96%이다. 2023년에는 중국의 인삼 수출량이 2,170.54톤으로 증가하였으며, 무역량 증가에 따라 수출 금액도 9,087.16만 달러로 동반 상승하였다.
(4) 프로젝트 시장 분석
인삼 산업은 중국에서 가장 경쟁력이 높고,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산업 중 하나이며, 국제적으로도 우위를 점하고 있는 전통 산업 중 하나이다.
통화는 “중국 인삼의 도시”로, 인삼 문화의 발상지이자, 기록상 인삼 채집 활동이 1,7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인공 재배도 400년 이상 이어져 온 지역이다. 통화시는 장백산 인삼의 핵심 생산지로, 중국 인삼 산업의 중심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삼은 통화시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통화시 관할의 집안시, 휘남현, 유하현, 통화현은 모두 인삼 생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그중 집안(集安)은 중국 특색 농산물(인삼) 우세 지역으로 인정받았으며, 유하(柳河)는 “중국 야생 산삼의 고장”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아 인삼 산업 발전에 있어 천혜의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연으로의 회귀”와 “친환경” 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천연 식물성 식품의 심가공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개발 비용이 적고, 기술 집약도가 높으며, 제품의 부가가치가 크고, 시장 활용도가 넓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인삼 건강 식품과 화장품은 그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자연 회귀”와 “친환경” 소비 개념에 부합하며, 많은 화장품 기업이 직면한 “그린 무역 장벽”을 뛰어넘어 더욱 강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장백산 만무(萬畝) 규모의 산삼 기지를 기반으로 인삼 고형 음료, 인삼 보습 데이크림, 인삼 사포닌 등 건강 제품을 생산하며, 발전 전망이 매우 밝다.
1.1.3 기술 분석
본 프로젝트는 현대화된 생산 공정과 자동화 생산라인을 도입하여, 성숙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인삼 고형 음료는 특허 기술을 적용하여 인삼을 초미세 분쇄한 후 제조되며, 이를 통해 음료에 고농도의 유효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의 방출 속도가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원료의 낭비 없이 효율적인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삼 보습 데이크림은 인삼 추출물, 에탄올, 정제수, 아보카도 오일, 실리콘 오일, PEG-100 스테아레이트, 헥사데칸올, 바셀린 등으로 구성되며, 인삼의 방사선 저항 효과와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기존 제품보다 뛰어난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품의 보존 기간은 1년 6개월 이상 유지될 수 있다.
인삼 사포닌은 적절한 용매와 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인삼에서 추출된다.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법 등 다양한 분리 및 정제 기술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인삼 사포닌 제품을 얻을 수 있다.
1.1.4 프로젝트 건설에 유리한 조건
(1) 정책적 우위
2022년 9월, 국가임초국, 농업농촌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등 6개 부처는 공동으로 <길림 인삼 산업의 고품질 발전 지원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길림 인삼을 대표로 하는 중국 중의약 특색 건강 자원 계승과 발전을 촉진하고, 인삼 산업의 전 가치사슬에 걸쳐 고품질 발전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2021년 12월, 길림성은 <길림성 장백산 인삼 산업 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인삼의 약용, 식용, 화장품 등 정밀·심가공 산업을 중점적으로 확장하고 인삼을 원료로 한 의약품, 식품, 건강보조식품, 생물제품, 화장품 및 생활용품 분야의 신제품 연구개발과 성과 전환을 가속화하며, 핵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것을 제안하였다.
2022년 6월, 길림성은 <전성(全省) 인삼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가속 추진하기 위한 실행 의견>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인삼 산업 총생산액을 800억 위안으로 확대하고 인삼 재배, 가공, 창고 보관 물류 등 주요 취약점을 보완하며, 생인삼의 우수 품질 비율을 85%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2030년까지 인삼 산업 총생산액 1,000억 위안 돌파를 목표로 하여, 인삼 산업을 길림성 농업의 신흥 주력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동북 지역이 산업 이전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산업 구조 조정 및 최적화를 촉진하며, 전면적인 경제 진흥을 이루도록 지원하기 위해 2023년 2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길서남산업이전수용시범구(吉西南承接產業轉移示範區) 설립을 승인하였다. 여기에 사평, 요원, 통화 3개 시가 포함된다. 해당 시범구는 의약 건강, 장비 제조, 농산물 및 식품 가공, 친환경 에너지, 현대 화학 공업, 현대 방직, 문화 관광 등 7대 산업을 중점적으로 유치할 예정이다. 본 프로젝트는 길서남산업이전수용시범구에 위치하며, 7대 중점 산업 중 하나인 의약 건강 프로젝트에 속한다.
통화의약고신구는 우수한 투자 유치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기업 투자 및 발전 가속화 실행 의견> 등 총 35개의 지원 정책을 발표하여 혁신 환경 조성, 서비스 시스템 구축, 과학기술 금융 지원, 인재 유치, 첨단기술 기업 육성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2.5억 위안 규모의 의약 산업 투자 유도 기금을 조성하였다. <통화의약고신구 투자 유치 및 인재 영입 관련 정책>에서는 서구(西區)의약건강혁신단지를 활용하여 건강식품산업단지를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의약건강혁신단지 및 건강식품산업단지 입주 세부 규정>을 발표하였다. 또한, <과학기술 혁신을 장려하고 기업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정책>을 연구 제정했으며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000만 위안 규모의 특별 기금을 조성하여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8월, 길림성 통화시는 <통화시 인삼 산업 고품질 발전 조례>를 공포 시행하였으며 인삼 품질 향상, 원산지 보호, 브랜드 육성 및 보호, 전통 계승 및 발전, 감독 및 관리 등 여러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본 조례는 일련의 제도적 조치를 통해 인삼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저해하는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천억 위안 규모의 인삼 산업 육성을 위한 강력한 법적 기반과 제도적 보장을 제공한다.
(2) 자원적 우위
통화는 장백산 서남부에 위치하며, 풍부한 약용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3대 천연 약고”, “중국 인삼의 고장”, 장백산 도지(道地) 약재 주요 생산지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다. 통화시는 전국 주요 중약 인삼 생산기지 중 하나로, 통화에서 재배되는 인삼은 전국 총생산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현재 인삼 재배, 가공, 연구개발, 판매, 유통, 브랜드 구축, 문화 발전을 포함하는 “7위1체”의 인삼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였으며, 전국에서 선도적으로 인삼 재배 구조를 최적화하고 과학적인 재배 기술을 보급하여 인삼 표준화 재배율을 70%까지 향상시켰다. 또한, 집안시(集安市)는 “중국 특색 농산물 우세 지역”으로, 유하현(柳河縣)은 “중국 야생 산삼의 고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장백산 인삼” 브랜드 원료기지를 90개나 조성하여, 길림성 내 최다 보유 지역이 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통화시는 길림성 경제 발전, 특히 의약 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명해왔다.
(3) 산업적 우위
통화시는 450개의 인삼 가공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가공량은 약 7,000톤에 달한다. 현재 국가급 선도 기업 3개(익성약업, 만통약업, 수정약업)과 성급 선도 기업 16개가 운영되고 있다. 전국 A주 상장사 중 인삼 관련 테마 기업 3개(강미, 익성, 자흠)이 모두 통화시에 위치하고 있다. 집안시와 통화현의 인삼현대농업산업단지는 각각 국가 및 성급 산업단지로 지정되었다. 현재까지 통화시는 식품,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화장품, 생물제품 등 5대 분야에서 800여 종의 인삼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인삼 신자원 식품 6개 유형 200여 종을 출시하였다. 또한, SC 품질 시스템 인증을 받은 인삼 제품은 130종으로, 그 수량은 길림성 내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4) 지역적 우위
통화시는 독특한 지리적 위치를 갖추고 있으며, 개방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 지역이자 압록강 국제 경제 협력대의 핵심 지역으로 국경선이 203.5km에 달하며, 중국 최동단에서 “일대일로(壹帶壹路)” 전략을 추진하고, 육해 연계를 실현하는 중요한 연결 지대이다. 또한, 동북 동부 대통로의 핵심 허브이자, 길림성이 남방으로 개방하는 주요 창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도로, 철도, 국가급 통상구를 각각 1개씩 보유하고 있다. 현재 통화를 경유하는 고속도로는 7개이며, 철도 운영 총연장은 467킬로미터에 달한다. 통화에서 북경, 상해, 광주, 천진, 중경, 태주, 대련 등 주요 도시로 가는 항공 노선이 개설되어 있다. 심양-백산 여객 운송 전용선, 집안-환인 고속도로와 통화공항 확장 사업의 사전 작업이 가속 추진되고 있다.
(5) 인재 우위
길림성에는 현재 19개의 인삼연구기관이 있으며, 통화시에는 장백례(張伯禮) 아카데미션 워크스테이션, 길림인삼연구원, 집안인삼연구소 등 7개의 인삼연구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성급 이상의 연구 성과 40여 개를 달성하였다. “신개하 1호(新開河1號)”, “강미 1호(康美1號)”, “익성한삼 1호(益盛漢參1號)” 등 7개의 인삼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국가기술표준혁신기지(인삼 산업)가 통화시에 설립되었다. 익성약업(益盛藥業)은 인삼을 원료로 한 “심열(心悅)캡슐”을 자체 개발하여 국가 2류 신약으로 승인받았으며, “인삼강당캡슐(人參降糖膠囊)”은 국가 중약 보호 품목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인삼 단일 성분 Re는 국가 횃불 계획에 포함되었다. 더불어, 2019년 통화사범대학은 인삼대학을 설립하였는데, 인삼 산업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인삼 산업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1.2.1 제품 규모
본 프로젝트는 연간 인삼 고형 음료 2,000만 포, 인삼 보습 데이크림 5만 병, 인삼 사포닌 25만 병을 생산한다.
1.2.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본 프로젝트는 길림자흠금계약업유한공사(吉林紫鑫金桂藥業有限公司)의 기존 건축물을 인수하여 건설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부지 면적은 161무이며, 건설 내용은 주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부분은 완공된 건축물 5개 동(2.4만㎡)을 인수하는 것인데 그 중 사무동 1개(4층, 0.3만㎡), 생산 작업장 2개(4층 1.4만㎡, 5층 0.4만㎡), 창고 2개(2층 600㎡, 3층 2,400㎡)이다. 두번째 부분은 건축 중인 건물 인수(계획 면적 총 6.23만㎡)인데 그 중 종합 사무동(6층, 1.4만㎡), 종합 창고(3층, 1.4만㎡), 전처리 작업장(2층, 0.8만㎡)는 주체 공사 완료 및 내부 벽체를 시공 완료했다. 고형제제 생산 작업장(2층, 1.39만㎡)와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생산 작업장(2층, 1.24만㎡)은 1층 골조 작업을 완공했다.
프로젝트는 공장 인수 후 후속 공사 및 내부 인테리어를 완료하여 인삼 음편(飲片), 완제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및 화장품 생산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조성될 예정이다. 또한, 생산 설비를 도입하고 공용 지원 시설을 구축한다.
1.3 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1.3.1 프로젝트 총투자
프로젝트의 총 투자는 50,000만 위안이며, 그 중 건설 투자가 45,000만 위안, 유동자금이 5,000만 위안이다.
1.3.2 자금 조달
기업 자체 조달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 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간 매출액 30,000만 위안, 이윤 10,000만 위안, 투자 회수 기간 7.0년(납세 이후, 건설 기간 2년 포함), 투자 수익률은 20.0%이다.
설명: 표 중 “만 위안”은 전부 인민폐임
1.4.2 사회적 평가
본 프로젝트의 추진은 의약고신구의 산업 발전 방향 및 관련 정책 요구에 부합하며, 현지 제품 구조의 조정과 고도화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 발전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삼을 원료로 활용하여 자원화 이용을 실현함으로써 높은 시범 효과를 갖추고 있다.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세수 증가에 기여하여 긍정적인 사회적 효과를 발휘한다.
1.5 협력 방식
합자 협력, 기타 방식 면담 가능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금, 설비, 기술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완료
2. 협력측 소개
2.1 기본 정보
명칭: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상무국
주소: 통화시 경개환로 1568호
2.2 개황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이하 “통화의약고신구”라 약칭)는 원래 “길림통화경제개발구”라는 명칭을 갖고 있었으며, 2005년 7월에 설립되었다. 이후 2011년 8월, 길림성 인민정부의 승인에 따라 “길림통화경제개발구”와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를 통합하여 현재의 “통화의약고신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국가급 의약고신구로 승격되었다. 통화의약고신구의 확정된 계획 면적은 12.7082제곱킬로미터이며, 행정 구역 면적은 57.3제곱킬로미터이다. 중장기 계획으로 57제곱킬로미터의 개발 면적과 107제곱킬로미터의 행정 구역 면적을 설정하고 있다.
통화의약고신구에는 현재 43개의 의약 기업이 운영 중이며, 만통약업(萬通藥業), 수정약업(修正藥業) 등 7개 기업이 그룹사로 성장하였다. 또한, 통화동보(通化東寶)와 통화금마약업(通化金馬藥業)은 상장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함께 9개의 의약 기업이 국가급 고신기술기업으로 재인증을 받았으며, 9개의 기업이 성급 인증 기업기술센터로 지정되었고, 그중 3개 기업은 국가급 기술센터로 인정받았다. 통화의 “대교통” 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통화-심양 고속도로, 통화-단동 고속도로, 통화-장춘 고속도로, 통화-집안 고속도로, 매하구-심양 고속도로 및 통화-단동 철도, 통화공항, 통화내륙항 등 “6개 도로·1개 공항·1개 항만” 사업이 연이어 완공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통화시는 직접적으로 환발해(環渤海) “2시간 경제권”에 편입될 것이며, 특히 요녕성과 길림성의 압록강경제협력선행구-“통단(通丹)경제벨트”가 시행됨에 따라 통화는 요녕 연해 경제벨트, 심양 경제구와 장길도 개발 개방 선도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허브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따라서 통화의약고신구는 강력한 후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3 연락처
2.3.1 협력측 연락처
연락부처: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상무국
연락인: 진규굉, 최봉
연락번호: +86-435-3265515 +86-13944545515
+86-435-3322595 +86-13732858668
E - 메일: thyygxq@126.com
2.3.2 프로젝트 소재시(주) 연락처
연락부처: 통화시상무국
연락인: 왕양신
연락번호: +86-435-3199017 +86-18643036783
E - 메일: thsswjtck@126.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