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 건강
통화시첨단화학의약품제제산업단지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첨단 약물 제제는 전통적인 제제를 기반으로 개량·혁신하여 치료적 한계를 극복하고 임상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체내 대사 특성을 변화시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고, 독성과 부작용을 감소시키며, 복약 순응도를 개선하여 임상 요구를 충족시키고 환자에게 더욱 큰 혜택을 제공하는 제제이다.
중국에서 의약품 집중 구매가 정착됨에 따라, 의약 산업은 첨단 업그레이드와 차별화를 통한 경쟁 돌파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혁신 신약 개발에는 높은 투자 비용과 리스크가 따르며, 일부 표적 영역에서는 동질화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력이 높고 진입 장벽이 높은 첨단 제제는 혁신적인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일반 제네릭 의약품과 비교했을 때, 고급 제제는 연구개발 공정이 복잡하고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경쟁 제품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혁신 의약품과 비교하면 개발 주기가 짧아 연구개발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프로젝트는 통화시의 우수한 제약 산업 기반을 활용하여 통화시에 첨단화학의약품제제산업단지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으로, 생물 제약 연구·생산 기업 30~50개를 유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 의약 건강 산업 발전의 중요한 동력원을 이룩하고자 한다.
1.1.2 시장 전망
(1) 중국 의약 산업 현황
의약 산업은 중국 국민 경제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전통 산업과 현대 산업이 결합된 삼차 산업 통합 분야이다. 중국 국내 생활 수준 향상과 의료 보건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의약 산업은 점점 더 대중과 정부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커지고 있다.
국내 생활 수준 향상, 의료 수요 증가, 의약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힘입어, 특히 인구 고령화가 가속됨에 따라 의료기기와 의약품에 대한 필수적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의약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등 만성 질환의 발병률이 매년 증가하면서 관련 의약품 및 치료법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예방 의료 및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의약 시장 규모는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중국 의약 시장 규모는 17,97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39% 증가하였다. 2024년에는 중국 의약 규모가 19,312억 위안에 이르렀다.
(2) 중국 의약 제조 산업 현황
집중 구매 및 의료 보험 협상의 영향으로 2022년 이후 의약 제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하였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產業研究院)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의약 제조 산업 심층 분석 및 “제14차 5개년” 발전 기회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의약 제조업의 규모 이상 기업 매출은 29,111.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하였으며, 총이익은 4,288.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감소하였다.
(3) 첨단 화학 의약품 제제 시장 분석
인구 고령화와 건강 인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의료 및 보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첨단 제제는 우수한 치료 효과와 높은 품질을 갖추고 있어 의사와 환자로부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의료 기술의 발전과 함께 첨단 제제의 품목과 종류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국의 제제 생산 수준은 여전히 국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며, 화학 제제 시장은 주로 제네릭 의약품이 중심을 이루고 있고, 혁신 제제의 비중은 낮으며 국내에서 개발된 혁신 제제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선진국들은 중국에서 중간체 및 원료약을 수입하여 고급 제제를 제조한 후, 다시 원연약(原研藥) 및 브랜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의 의약 산업은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제제 연구개발 분야에서 첨단 제제는 신분자 물질과 비교할 때 개발 투자 비용이 낮고, 개발 주기가 짧으며, 임상 시험의 리스크도 적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장 점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중국 의약 산업은 오랫동안 “원료약 중시, 제제 경시”라는 불균형적인 발전 모델을 유지해왔다. 그 결과, 원료약 산업은 빠르게 성장한 반면, 제제 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지면서 제품의 부가가치가 낮고 경쟁력이 약한 상황이라 기초 제제의 저수준 모방이 만연하고 있으며, 많은 제품이 일관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비록 최첨단 기술 연구와 탐색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첨단 제제 연구는 대부분 실험실 단계, 논문 또는 특허 수준에 머물러 있어 정밀하고 체계적인 심층 연구가 부족하다. 이로 인해 기술 성숙도가 낮고, 실용성과 연계성이 떨어지며, 산업화·규모화·국제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아울러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진 독자적인 혁신 첨단 제제 제품이 부족하다.
첨단 제제의 연구개발 및 생산 수준은 국내외 제약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첨단 제제 기술은 중국 의약 혁신의 핵심 돌파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정책 지원도 첨단 제제 기술 발전에 집중되고 있다. 일찍 2016년 “13차 5개년” 계획에서 첨단 제제 개발이 국가 발전 계획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제정된 새로운 의약품 분류 기준에서 혁신 제제를 2류 혁신 의약품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2022년 1월 국가공업정보화부 등 9개 부처가 공동 발표한 <“14차 5개년” 의약 산업 발전 계획>에서는 의약 산업화 기술 돌파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국 제제 산업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제제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며, 첨단 제제를 연구개발하는 것이 중국 제제 산업의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발전을 위한 시급한 과제이다.
현재 제로제약(齊魯制藥), 서화제약(瑞華制藥) 등 여러 국내 제약 기업들은 신형 첨단 제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제제 연구개발 및 생산 플랫폼을 구축하여 병목현상 기술의 돌파를 이루고 연구 성과를 신속하게 산업화하고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중국은 “원료약 중시, 제제 경시” 구조가 지속되어 왔으며 현재 중국 국내 제제 산업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특히, 암 치료제, 희귀병 치료제, 소아용 의약품 등 첨단 제제 기술과 제품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혁신이 의약 산업 발전의 주요 기조가 되고, 첨단 제제 기술 혁신 영역에 진입하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업계에서는 첨단 제제 기술이 중국 의약 혁신의 중요한 돌파구가 될 것이며 또한 국내 제약 기업이 글로벌 혁신에 참여하는 중요한 방향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통화시 첨단화학약제제산업단지 인프라 프로젝트는 고품질 화학약 제제 생산단지를 건설하고 인프라와 공공서비스 체계 건설 능력을 강화하며, 바이오 제약 연구개발 생산 기업을 유치하여 지속적으로 중요 품종과 프로젝트의 현지화를 가속화하고, 산업 집적 발전을 추진하기에 프로젝트 건설 전망이 광범위하다.
1.1.3 프로젝트 건설에 유리한 조건
(1) 정책적 우위
2022년 1월, 국가공업정보화부 등 9개 부처가 공동으로 <“14차 5개년” 의약 산업 발전 계획>을 발표했으며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핵심 기술 난관 극복을 강화하고, 산업화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며, 기업의 과학기술 자원 통합을 지원하여 의약 산업화 기술 난관 극복 공정을 실시하도록 한다. 화학약 기술에 대해서는 고선택성, 서방성 등의 특징을 가진 복잡한 제제 기술 즉 마이크로스피어 등 주사제, 서방성, 다입자 시스템 등 경구제제, 경피, 이식, 흡입, 구강 용해 필름 투여 시스템, 약물 의료기기 조합 제품 등 영역에 중점을 둔다. 바이오 약물 기술에 대해서는 초대규모 세포 배양 기술, 바이오 의약품 신투여 방식과 신형 전달 기술 등 영역에 중점을 둔다.
<길림성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 비전 목표 요강>에서는 화학약 첨단 제제의 육성 발전, 화학 원료약 수출기지 건설을 제시했다. 요원, 통화, 백산, 매하구, 돈화 등 의약 특색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국가 북방 소품종 약물 생산기지를 조직하며 2025년까지 산업 규모를 2,000억 위안에 달하게 한다.
동북 지역이 산업 이전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산업 구조 조정 및 최적화를 촉진하며, 전면적인 경제 진흥을 이루도록 지원하기 위해 2023년 2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길서남산업이전수용시범구(吉西南承接產業轉移示範區) 설립을 승인하였다. 여기에 사평, 요원, 통화 3개 시가 포함된다. 해당 시범구는 의약 건강, 장비 제조, 농산물 및 식품 가공, 친환경 에너지, 현대 화학 공업, 현대 방직, 문화 관광 등 7대 산업을 중점적으로 유치할 예정이다. 본 프로젝트는 길서남산업이전수용시범구에 위치하며, 7대 중점 산업 중 하나인 의약 건강 프로젝트에 속한다.
통화의약고신구는 우수한 투자 유치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기업 투자 및 발전 가속화 실행 의견> 등 총 35개의 지원 정책을 발표하여 혁신 환경 조성, 서비스 시스템 구축, 과학기술 금융 지원, 인재 유치, 첨단기술 기업 육성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2.5억 위안 규모의 의약 산업 투자 유도 기금을 조성하였다. <통화의약고신구 투자 유치 및 인재 영입 관련 정책>에서는 서구(西區)의약건강혁신단지를 활용하여 건강식품산업단지를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의약건강혁신단지 및 건강식품산업단지 입주 세부 규정>을 발표하였다. 또한, <과학기술 혁신을 장려하고 기업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하는 정책>을 연구 제정했으며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000만 위안 규모의 특별 기금을 조성하여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2) 자원적 우위
통화는 장백산 서남부에 위치하며, 풍부한 약용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3대 천연 약고”, “중국 인삼의 고장”, 장백산 도지(道地) 약재 주요 생산지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다.
통화시의 인삼 재배 면적은 5.5만 무에 달하며 임하삼 최적화 면적은 36만 무로 조정되었고, 연간 신선 인삼 생산량은 1.3만 톤에 이른다. 또한, 통화시는 오미자, 패모, 도라지, 세신, 천마, 용담초 등 20여 종의 대표적인 중소형 한약재를 연중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 면적은 6.43만 무이고 연간 생산량은 2.5만 톤에 달한다.
(3) 산업적 우위
의약 산업은 통화시의 지주 산업 중 하나로, 비교적 강력한 산업 기반과 양호한 전환 전망을 가지고 있다. 통화시는 유명한 “중국의약도시”, “중국인삼도시”로서 현재 의약류 기업이 104개가 있으며, 3,582개의 문호(文號)를 보유하고 있고, 독점 품종이 153개이다. 이 중 중약 문호가 2,274개로 연중 생산 품종이 875개이며, 화학 의약품 문호가 1,286개로 연중 생산이 108개이고, 바이오 의약품 문호가 19개로 연중 생산이 12개이며, 보조제 문호가 2개이다. 기본 의약품 목록이 695개로 이 중 중약 문호가 391개, 바이오 의약품 문호가 8개, 화학 의약품 문호가 296개이다. 중약 보호 품종이 10개 문호이다. 국가 의료보험 목록이 1,321개로, 이 중 중약이 720개 문호, 화학 의약품이 555개 문호, 바이오 의약품이 16개 문호이며, 중약 승인 수량은 전국 1위를 차지한다.
(4) 지역적 우위
통화시는 독특한 지리적 위치를 갖추고 있으며, 개방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 지역이자 압록강 국제 경제 협력대의 핵심 지역으로 국경선이 203.5km에 달하며, 중국 최동단에서 “일대일로(壹帶壹路)” 전략을 추진하고, 육해 연계를 실현하는 중요한 연결 지대이다. 또한, 동북 동부 대통로의 핵심 허브이자, 길림성이 남방으로 개방하는 주요 창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도로, 철도, 국가급 통상구를 각각 1개씩 보유하고 있다. 현재 통화를 경유하는 고속도로는 7개이며, 철도 운영 총연장은 467킬로미터에 달한다. 통화에서 북경, 상해, 광주, 천진, 중경, 태주, 대련 등 주요 도시로 가는 항공 노선이 개설되어 있다. 심양-백산 여객 운송 전용선, 집안-환인 고속도로와 통화공항 확장 사업의 사전 작업이 가속 추진되고 있다.
(5) 인재 우위
현재 통화시에는 국가급 중점 중등직업학교 3개, 성급 중점 중등직업학교 3개가 있으며, 현급 직업교육센터가 모두 성급 중점학교 심사를 통과하여 전성 100강 학교에 진입했으며 길림성에서 최초로 현급 직업교육센터가 모두 성급 중점학교에 진입한 지역이다. 최근 몇 년간 과학적 배치를 통해 직업 교육의 구조 조정과 자원 통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다원적 학교 운영의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며, 현대 직업교육네트워크체계 건설을 지속적으로 완비하여, 직업 교육의 지방 특색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경제 사회 발전을 위한 서비스 능력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통화시정부는 이미 동북사범대학교, 길림농업대학교, 중국과학원 장춘응용화학소, 통화사범대학 등 길림성 내의 고등교육기관 과학연구단위와 과학기술 전략 협력 협의를 체결하여 기업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통화시는 인재 육성 등의 측면에서 기업에 지속적인 도움을 주고 있으며, “만명 학생, 기업 흥성 계획”과 “천명 학생, 귀소 계획”을 대대적으로 실시하여 지속적으로 기업을 위해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을 유치하고 있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프로젝트 총 부지 면적은 130,000㎡이며, 총 건축 면적은 160,000㎡이다. 본 프로젝트는 화학 의약품 제제의 GMP 기준을 충족하는 생산동 12개, 소규모 시험 공장동 1개, 중간 시험 공장동 1개, 연구개발품질검사센터 1개, 종합서비스센터 1개를 건설할 예정이다. 또한, 식당, 숙소, 소방시설, 환경 보호 시설, 오수 처리 시설, 위험물 보관 창고 등 인프라도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1.3 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1.3.1 프로젝트 총투자
프로젝트의 총 투자는 50,000만 위안이며, 그 중 건설 투자가 49,000만 위안, 유동자금이 1,000만 위안이다.
1.3.2 자금 조달
기업 자체 조달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 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간 매출액 12,000만 위안, 이윤 8,000만 위안, 투자 회수 기간 8.3년(납세 이후, 건설 기간 2년 포함), 투자 수익률은 16.0%이다.
설명: 표 중 “만 위안”은 전부 인민폐임
1.4.2 사회적 평가
프로젝트 건설을 통해 통화시 화학 의약품 제제 산업의 수용 능력을 완비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의약 기업의 생산 비용을 낮추고, 자원 사용 효율을 높이며, 양호한 발전 환경을 조성하고, 의약산업기지의 집적 능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전략적 의의가 있어 프로젝트는 뛰어난 사회적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1.5 협력 방식
합자 협력, 기타 방식 면담 가능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금 및 기타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완료
2. 협력측 소개
2.1 기본 정보
명칭: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상무국
주소: 통화시 경개환로 1568호
2.2 개황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이하 “통화의약고신구”라 약칭)는 원래 “길림통화경제개발구”라는 명칭을 갖고 있었으며, 2005년 7월에 설립되었다. 이후 2011년 8월, 길림성 인민정부의 승인에 따라 “길림통화경제개발구”와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를 통합하여 현재의 “통화의약고신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국가급 의약고신구로 승격되었다. 통화의약고신구의 확정된 계획 면적은 12.7082제곱킬로미터이며, 행정 구역 면적은 57.3제곱킬로미터이다. 중장기 계획으로 57제곱킬로미터의 개발 면적과 107제곱킬로미터의 행정 구역 면적을 설정하고 있다.
통화의약고신구에는 현재 43개의 의약 기업이 운영 중이며, 만통약업(萬通藥業), 수정약업(修正藥業) 등 7개 기업이 그룹사로 성장하였다. 또한, 통화동보(通化東寶)와 통화금마약업(通化金馬藥業)은 상장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함께 9개의 의약 기업이 국가급 고신기술기업으로 재인증을 받았으며, 9개의 기업이 성급 인증 기업기술센터로 지정되었고, 그중 3개 기업은 국가급 기술센터로 인정받았다. 통화의 “대교통” 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통화-심양 고속도로, 통화-단동 고속도로, 통화-장춘 고속도로, 통화-집안 고속도로, 매하구-심양 고속도로 및 통화-단동 철도, 통화공항, 통화내륙항 등 “6개 도로·1개 공항·1개 항만” 사업이 연이어 완공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통화시는 직접적으로 환발해(環渤海) “2시간 경제권”에 편입될 것이며, 특히 요녕성과 길림성의 압록강경제협력선행구-“통단(通丹)경제벨트”가 시행됨에 따라 통화는 요녕 연해 경제벨트, 심양 경제구와 장길도 개발 개방 선도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허브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따라서 통화의약고신구는 강력한 후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3 연락처
2.3.1 협력측 연락처
연락부처: 통화의약고신기술산업개발구상무국
연락인: 진규굉, 최봉
연락번호: +86-435-3265515 +86-13944545515
+86-435-3322595 +86-13732858668
E - 메일: thyygxq@126.com
2.3.2 프로젝트 소재시(주) 연락처
연락부처: 통화시상무국
연락인: 왕양신
연락번호: +86-435-3199017 +86-18643036783
E - 메일: thsswjtck@126.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