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공 및 식품
길림시 생돼지 도축 및 육류 심층 가공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프로젝트의 총 부지 면적은 15만 평방미터이며, 주로 돼지 도축 작업장, 육류 가공 작업장 및 이에 부속되는 냉장 물류 시설, 동력 설비 등 시설을 건설하여 돼지 도축 및 육류의 심층 가공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길림시의 돼지 도축 능력과 자동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심층 가공을 통해 길림성 돼지 사육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1.1.2 시장 전망
(1) 돼지고기 산업의 배경
돼지고기는 중국인 식탁에서 가장 중요한 육류 중 하나로, 중국 농목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돼지고기 소비 비중이 60%를 넘는다. 이 산업은 주민들의 기본적인 생활 수요와 직결될 뿐만 아니라, 농업 경제의 안정과 발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돼지고기 산업은 여러 세부화된 분야로 나뉠 수 있는데, 주로 돼지 사육, 사료 생산, 동물용 의약품 및 백신, 돼지 도축, 돼지고기 가공 및 판매 등이 있으며 각 분야는 고유한 산업적 특성과 대표적인 기업을 가지고 있다.
그중 돼지 도축과 가공은 돼지고기 산업 체인의 중요한 단계이며, 최종 제품은 소비 시장으로 흘러간다. 도축 산업은 생산 능력 활용도가 일정하지 않고 수익성이 비교적 낮은 반면, 가공 및 판매 단계에서는 수익성이 높은 편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솽후이(雙匯)’와 ‘위룬(雨潤)’ 등이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형 사육 기업들도 점차 도축 사업에 진출하여 산업 체인의 전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2) 돼지고기 산업 현황 분석
과거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심각한 영향을 받아 2019년 중국의 돼지 사육 두수는 27.5% 급감하여 3억 1천만 마리로 감소했다. 그러나 전염병이 효과적으로 통제되고 각종 지원 정책이 시행되면서 돼지 생산능력이 빠르게 회복되었다. 2022년 말 전국 돼지 사육 두수는 4억 5,300만 마리로 증가하여 전년 대비 0.7% 성장했다. 2023년 말 전국 돼지 사육 두수는 4억 3,422만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4억 5,256만 마리) 1,834만 마리 감소하여 4.05%의 하락세를 보였다. 2023년 한 해 동안 출하된 돼지는 7억 2,662만 마리였으며, 2023년 12월 기준 규모 이상의 돼지 도축 기업에서 도축된 마리 수는 3,978만 마리에 달했다. 2024년 연간 돼지 공급량은 7억 1,600만 마리로, 2023년의 7억 2,600만 마리보다는 소폭 감소했지만 2022년의 6억 9,900만 마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2024년에도 돼지 출하량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한다. 비록 출하량이 다소 감소했지만, 돼지고기 생산량의 감소 폭은 크지 않아 전국적인 돼지고기 공급량 축소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도축 기업들은 높은 재고 수준과 낮은 시장 전망을 고려하여 냉동 재고를 점진적으로 소진하는 전략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국 주요 도축 기업들의 냉동 창고 이용률은 점진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돼지고기 산업 발전의 중요한 기반은 시장 수요이다. 2022년 중국 가구당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26.9kg으로 전년 대비 6.75% 증가했다. 2023년에는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이 27.7kg에 도달했다. 주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품질 및 높은 영양가를 갖춘 돼지고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식생활의 다변화로 인해 소비자들이 소고기, 양고기, 가금류, 수산물 등 대체 육류 소비를 늘리면서 돼지고기 소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돼지고기는 여전히 중국에서 가장 주요한 육류 소비 품목 중 하나이며, 시장 수요는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 돼지고기 소비 시장은 여전히 열선육(熱鮮肉, 도축 직후 신선한 상태로 판매되는 육류)이 주를 이루며, 전체 소비의 약 70%를 차지한다. 그다음으로 냉동육(20%), 냉장육(10%) 순으로 소비된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 및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냉장육과 냉동육의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시장 규모가 방대하다. 2023년 전 세계 돼지 생산 및 돼지고기 시장 규모는 약 1조 7,776억 위안에 달했으며, 2030년에는 1조 8,988억 위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0.8%로 추정된다. 특히, 중국의 돼지 사육 산업 시장 규모는 1조 위안을 넘어서며,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
돼지고기 산업의 경쟁 구도는 변화하고 있다. 대규모 및 그룹화된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는 반면, 중소 규모의 개별 농가는 점점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다. 또한, 도축 및 가공 부문에서도 대형 기업들이 산업 내 상·하류 자원을 통합함으로써 산업 체인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돼지고기 산업은 성장 과정에서 여러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 주요 도전 과제로는 생산 비용 상승, 식품 안전 문제, 환경 보호 규제 강화 등이 있다.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 점점 엄격해지는 환경 보호 정책, 그리고 치열한 시장 경쟁은 기업 운영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 업그레이드, 기술 혁신, 산업 체인 간 협력 강화 등의 요소가 돼지고기 산업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고급화된 프리미엄 돼지고기 제품, 기능성 돼지고기, 그리고 식물성 대체육 시장의 성장도 새로운 발전 동력이 되고 있다. 또한, 국제 시장 개척이 활발해지면서 기업들은 더 넓은 성장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3) 돼지고기 심층 가공 산업 분석
돼지고기 심층 가공 산업은 식품 가공업의 핵심 분야로, 원육 상태의 돼지고기를 다양한 형태의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전환하는 데 집중한다. 중연보화산업연구원(中研普华产业研究院) 등 권위 있는 기관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돼지고기 심층 가공 산업 시장 규모는 2조 5,000억 위안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7.2% 성장했다.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3조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약 5%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소비 업그레이드와 인구 증가 등의 요인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소비자의 건강 의식이 높아지면서, 산업은 고품질·건강화·다양화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저염, 저지방, 고단백과 같은 건강 중심 제품과 지역적 특색을 살린 심층 가공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돼지고기 심층 가공 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다. 솽후이, 진뤄(金鑼), 위룬식품 등 대형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동시에 수많은 중소기업이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자리 잡으려 하고 있다. 대형 기업들은 브랜드, 기술력, 유통망 등의 강점을 활용해 시장을 지배하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혁신적인 제품 개발, 품질 개선, 서비스 최적화 등을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최근 몇 년간 돼지고기 심층 가공 산업은 기술 개발과 공정 혁신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새로운 공법과 장비의 도입은 제품 품질 향상과 시장 확장을 견인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 기술과 신선 보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돼지고기 심층 가공 제품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햄, 소시지, 훈제육, 바비큐 고기, 육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정밀한 가공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주요 가공 방식으로는 절단, 염지, 훈제, 숙성 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품의 맛과 풍미가 더욱 풍부해지고, 보존 기간이 길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제품의 가공 방식과 형태에 따라 돼지고기 심층 가공 제품은 즉석식품, 간편식, 조미육류 등 여러 세부 카테고리로 나뉠 수 있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소비자들의 식생활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고품질·건강 중심·다양한 돼지고기 심층 가공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화 및 스마트 기술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생산 효율성과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이는 업계의 빠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1.3 기술분석
현재 중국의 돼지 도축 및 가공 산업은 성숙한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생산 공정이 비교적 고정되어 있다. 주요 공정 단계는 다음과 같다.
“생돼지 접수 → 안정화(정양) → 도축 대기 → 기절(기절 처리) → 방혈 → 도축대에 매달기 → 1차 세척 → 탕모(뜨거운 물에 담가 털 제거) → 털 제거 → 2차 도축대 매달기 → 냉각 → 1차 건조 → 초벌 털 태우기 → 수작업 털 태우기 → 광택 및 세척 → 치골 절개 → 흉부 절개 → 항문 절개 → 백색 내장 제거 → 검사용 육류 채취 → 적색 내장 제거 → 머리 및 꼬리 제거 → 돼지머리 1차 절단 → 자동 반토막 절단 → 동시 검사 → 삼선(세 개의 분비선) 제거 및 머리고기 정리 → 발굽 제거 → 지방막 제거 → 정리 → 등급 분류 → 돼지 머리 부분 껍질 및 지방 계량 → 돼지 머리 제거 → 백조육(도축된 돼지 전체) 계량 → 세척 → 1차 냉각 및 숙성 → 부위별 절단”
1.1.4 프로젝트 건설의 유리한 조건
(1) 정책적 우위
《생돼지 생산능력 조정 시행 방안(2024년 개정)》은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고 생돼지 사육이 심각한 적자를 기록할 경우, 농가 및 사육장의 출하 중량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사육 연장을 방지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도축 기업이 표준 체중의 생돼지를 적극적으로 매입하도록 장려함으로써.
《“데이터 요소 ×” 3개년 행동 계획(2024-2026년)》은 농산물 공급망의 투명성을 높이고, 제3자 기업이 농산물의 생산지, 생산 과정, 가공, 품질 검사 등의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농산물의 근원 추적 관리, 정밀 마케팅, 소비자 신뢰 제고를 촉진한다. 또한, 산업사슬 데이터 통합 혁신을 추진하며, 제3자 플랫폼 기업이 농가를 대상으로 스마트 사육, 거래 중개, 질병 예방, 시장 동향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사료 및 약품 사용, 생육 과정, 유통 및 가공까지의 데이터를 연결하여 일괄 구매, 공급망 금융 등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농산물 생산-소비 맞춤형 모델을 육성하여 농업과 상업무역 유통 데이터 융합 분석 응용을 지지하며 전자상거래 플랫폼, 대형마트, 물류 기업이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농산물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피드백하여 시장 수요와 공급 간의 최적화를 유도한다. 또한, 농업 생산의 리스크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생돼지, 과일·채소 등의 분야에서 생산능력, 운송, 도매시장 가격 데이터를 통합·발표·활용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농업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체계를 강화하고 시장 주기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도록 한다.
《축산 도축 "엄격한 규범 정립, 품질 향상, 안전 확보" 3개년 행동 계획》은 2025년까지 전국 축산 도축업의 구조를 한층 최적화하고, 도축 생산능력을 주요 사육 지역으로 집중시켜 사육 생산능력과의 적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낙후된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감축하고, 소·양의 집약적 도축을 적극 추진하며, 축산 도축업의 생산능력 활용률과 산업 집중도를 안정적으로 높인다. 이에 따라 도축업의 표준화, 기계화, 스마트화 수준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중국인민은행과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등 관계 부처가 공동으로 발표한 《농촌 진흥을 전면적으로 추진하고 농업 강국 건설을 가속화하기 위한 금융 지원 지침》은 대두 및 유지작물 생산, 생돼지 및 ‘채소 바구니’ 프로젝트, 유차(油茶) 확대 재배 및 저수확·저효율 임지 개량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이에 대한 신용 대출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을 명시한다.
《길림성 인민정부 판공청의 축산업 고품질 발전 촉진 시행 의견》은 축산물 가공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여 업계의 고품질 발전을 선도할 것을 명확히 한다. 축산업 전 산업 체인을 아우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적극 유치 및 육성하고, 국가급 농업 산업화 선도 기업을 빠르게 양성하며,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정밀·심층 가공 산업을 적극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축산물 가공을 단순 1차 가공에서 다층적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심층 가공으로 전환하고,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신성장 공간을 개척해야 한다. “전 산업 체인, 전 자원 활용”원칙을 견지하고, 기업이 정밀·심층 가공 및 제품 시리즈 개발을 추진하도록 독려하며, 영양·편의성을 강조한 즉석 가공식품 생산을 확대한다. 또한, 바이오의약,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의약 중간체 등의 산업을 적극 육성하여 산업 체인을 확장하고 가공 수준을 높이며, 식품 산업, 제약 산업, 의류 산업으로 지속적으로 확장시킨다. 이를 통해 동물 가죽, 뼈, 혈액, 내장 등의 전면적인 가공 및 활용을 실현하고, 축산물 생산·가공·종합 활용의 단계별 가치 상승 구조를 구축한다.
《길림시 투자 유치 정책》에서는 길림시 산업 투자 유도 기금의 투자 프로젝트는 국가 및 관련 산업 정책과 발전 계획에 부합해야 하며, 특히 길림시 "6411" 산업 계획 내 관광, 의약·건강, 항공, 정보기술, 신소재, 첨단 장비 제조, 생명공학,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신에너지, 문화 창작, 현대 농업, 현대 서비스업 등 관련 산업과 시 정부가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기타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유도 기금은 자펀드(子基金) 출자 방식을 비롯하여 후속 투자, 직접 투자 등의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유치된 투자 프로젝트가 관련 조건을 충족할 경우, 국가 및 성의 현행 세금 정책에 따라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길림시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프로젝트의 경우, 《국무원의 세금 등 우대 정책 관련 사항에 대한 통지》(국발[2015]25호) 문건의 정신에 따라, 관련 부서가 기업이 법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세금 감면 신청을 지원한다. 산업 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 기업 발전 특별 기금을 설립하며, "6411" 산업 체계 내 화학, 자동차, 야금(제철·제강), 농산물 가공 등 기존 산업 중 국가 산업 정책에 부합하고, 산업적 기반이 강하며, 경제적 파급 효과가 뚜렷한 대형 프로젝트 유치를 적극 장려한다. 또한, 의약·건강, 신소재, 첨단 장비 제조, 전자 정보 등 신흥 산업 유치를 장려하며, 생산 요소 배치에서 우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국가 및 성(省) 관련 특별 기금 지원을 최우선으로 추천한다.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食品区)는 성급 개발구이지만, 국가급 개발구로의 승격을 신청한 상태이며, 현재 길림성의 "8+2" 준(準) 국가급 개발구 우대 정책을 적용받고 있다.
(2) 자원적 우위
길림시는 뛰어난 지리적 환경과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어 매우 풍부한 농업 특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시 전체 벼 생산량은 식량 작물의 1/4을 차지하며, 임하삼(林下參, 숲 아래에서 재배하는 인삼)의 재배 면적은 전국에서 가장 크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고품질 임하삼 세 뿌리 중 한 뿌리는 길림시에서 생산되며, 영지버섯 생산량은 길림성 내 1위, 목이버섯 생산량은 성 내 2위를 차지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길림시는 전국적으로 희귀하고, 야생성이 강하며,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농산물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길림시는 “중국 갱도 공미(粳稻贡米)의 고장”, “중국 목이버섯의 고장”, “중국 단찰옥수수의 고장” 등 여러 명성을 보유하고 있다. 청나라 시기부터 길림시는 고품질 농산물의 주요 생산지이자 집산지였으며, “길자호(吉字号)”농산물은 오랜 역사와 독특한 특색, 뛰어난 품질을 자랑한다. 길림시는 “녹색 곡물”, “안심육”, “유기 버섯”, “송화강 어류”의 품질적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품공(吉品贡)”이라는 전 품목 지역 공용 브랜드를 육성하고, “노야령(老爷岭)”, “복원관(福源馆)” 등의 기업 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지역 브랜드 + 기업 브랜드 + 제품 브랜드”의 브랜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시장을 동시에 개척하고, 더 많은 고품질 농산물이 길림을 넘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는 길림시 영길현에 위치하며, 총 57km²의 면적으로 계획되었고, 이 중 36km²가 개발 용지로 지정되어 있다.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토지 자원이 풍부하며, 신규 및 예비 용지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 새로운 프로젝트의 입지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의 토지 가격은 동북 지역 41개 도시 중에서도 저렴한 수준에 속한다.
(3) 산업적 우위
길림시 및 인근 지역은 풍부한 돼지 사육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신정대(中新正大) 그룹은 길림시에 대규모 돼지 사육 기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50만 마리의 비육돈(肥猪, 출하용 돼지)을 출하할 수 있어 프로젝트의 원재료 공급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길림성의 돼지 사육 산업은 매우 발달해 있으며, 돼지고기의 품질이 우수하고, 맛이 뛰어나며, 지방 함량이 적고 살코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체내 독소 함량이 낮고 잔류 의약 성분이 없는 청정육으로 평가받고 있어 길림시의 돼지는 최적의 원료 공급원이라 할 수 있다.
길림시와 그 식품 가공 산업단지는 완비된 전력·급수 시설과 전기통신망을 갖추고 있어 프로젝트 운영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산업단지 내에는 하수 처리장이 조성되어 있어 돼지 도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중신 식품구가 위치한 차로하진(岔路河鎮)은 길장 고속도로 남측 중간 지점에 자리하고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이를 통해 장춘시와 길림시라는 두 대도시의 과학·교육 자원 및 경제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 비용과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육류 제품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냉장·냉동 물류 시스템은 산업 체인에서 필수적인 요소다. 길림시는 완비된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제품이 시장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4) 인재 우위
길림시는 동북전력대학, 길림화공대학, 북화대학, 길림농업과기대학, 길림의약대학, 길림전자정보직업기술대학, 길림공업직업기술대학, 길림철도직업기술대학, 길림통용항공직업기술대학 등 다수의 고등 교육기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기업에 지속적인 인재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길림시는 숙련된 산업 인력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직업 교육을 통해 매년 1만 명 이상의 기술형 인재를 배출하고, 연간 2만 명 이상의 다양한 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길림시는 노동력 자원이 풍부하며, 숙련된 기술 인력 비율이 동북 3성 내 주요 도시들 가운데 높은 편에 속한다. 현재 길림시는 인구 보너스기(人口紅利期)에 접어들었으며, 노동력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우수한 산업 인력 풀을 형성하고 있어 다양한 기업의 인력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
(5) 지리적·교통 우위
길림시는 길림성 중부 동쪽에 위치하며, 동북 지역의 핵심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동쪽으로는 연변조선족자치주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장춘시·사평시, 북쪽으로는 흑룡강성 하얼빈시와 접경하며, 남쪽으로는 백산시·통화시·요원시와 인접해 있다. 총 면적은 27,120km²로, 이러한 지리적 위치 덕분에 길림시는 동북 지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길림시는 도로, 철도, 항공, 수운 등 다양한 교통망을 보유한 교통 요충지다. 철도망의 경우 장춘-도문철도가 길림시를 관통하며, 구역역(九站)과 신구역역(新九站) 두 개의 중간역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장춘-길림 간선 고속철도도 시내에 정차역을 운영하고 있다. 도로망으로는 장춘-훈춘 고속도로가 길림 경제기술개발구에 출구를 두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항공 교통 측면에서도 길림시는 장춘 룽자(龙嘉) 국제공항과 불과 60km 떨어져 있어 항공 이용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송화강(松花江) 수운을 활용한 내륙 물류 운송도 가능해, 동북 지역 내 물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1.2.1 건설 규모
본 프로젝트의 총 부지 면적은 15만 m²이며, 완공 후 생돼지 도축 및 육류 가공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1.2.2 건설 내용
프로젝트의 총 건축 면적은 16.5만 m²이며, 생돼지 도축 표준 공장 8동, 육류 가공 공장 5동, 콜드체인(냉장·냉동) 시설 3동, 가스 보일러실 1동, 근로자 숙소 2동, 하수 처리 시설 1동, 세척·소독실 1동, 소방용 저수조 1기, 기타 부대 시설을 건설한다.
1.3 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1.3.1 프로젝트 총투자
프로젝트 총투자는 6억 6천만 위안이고, 그중 건설 투자가 5억 820만 위안, 운영 자금이 1억 5,180만 위안이다.
1.3.2 자금 조달
기업 자체 조달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 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간 매출액 13억 2,000만 위안, 이윤 1억 6,500만 위안, 투자회수기 7년(납세 이후, 건설 기간 2년 포함), 투자 수익률은 25%이다.
1.4.2 사회적 평가
본 프로젝트는 길림시 및 주변 지역의 기존 양돈 기업과 협력하여 원재료 공급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생돼지 출하 경로를 확보하고, 과잉 생산 문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생돼지의 부가가치가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대화된 도축 및 심층 가공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도축 효율성과 육류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장의 고품질 돼지고기 제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프로젝트는 생돼지 산업 구조의 최적화를 촉진하며, 양돈 및 육류 가공 산업의 요소 집적과 산업 집중을 강화하여 규모화 및 집약적 운영을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 이를 통해 농업 산업 체인의 확장과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하고, 1차 산업(농업)과 2·3차 산업(제조·서비스업)의 융합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건설 및 운영은 지역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업 구조 최적화, 산업 경쟁력 제고, 일자리 창출, 주민 소득 증가 등의 측면에서 길림시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새로운 활력과 동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1.5 협력 방식
합자·합작 방식, 기타 방식은 협의 가능.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본, 기타 방식은 협의 가능.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길림시 영길현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해외 투자 유치 진행 중
2. 협력측 소개
2.1 기본 정보
명칭: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 관리위원회
주소: 길림시 영길현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
2.2 개황
중신(중국-싱가포르) 길림 식품구는 길림성 영길현 차로하진에 위치하며, 행정구역 면적은 57km²이다. 2019년 12월 19일, 중신 식품구는 국가 도시·농촌 융합 발전 실험구로 선정되었다. 식품구는 핵심구, 통제구, 방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핵심구는 영길현 차루허진에 위치하며, 총 57km² 규모로 조성된다. 식품 가공, 물류·보관, 현대식 상업·주거, 행정 사무, 휴양·레저, 경관 녹지 등 6대 기능 구역을 계획하고 있으며, 생태 도시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통제구는 1,450km² 규모로 조성되며, 동쪽은 장화링(張花嶺), 남쪽은 마안(馬鞍), 서쪽은 음마하(飲馬河), 북쪽은 태평습지(太平濕地)까지 확장된다. 해당 지역은 하천 및 습지를 자연적 격리 방어선으로 활용하여 국제동물위생기구(OIE) 기준에 부합하는 폐쇄형 방역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무병원종(無疫病種) 및 사육 단지를 조성하고, 현대 농업의 실험 및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방사구는 통제구를 중심으로 길림성, 요녕성, 흑룡강성, 내몽골자치구 일부 지역까지 확장된다. 이를 통해 엄격한 품질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최적의 원료 생산 기지를 선정하여 식품구의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보장한다.
2.3 연락처
우편번호: 132000
연락인: 이기귀
연락번호: +86-13804441992
이메일: lqg5818@163.com
프로젝트 소재시(주) 연락처:
연락부처: 길림시 상무국 투자 촉진 서비스 센터
연락인: 강우수
연락번호: +86-432-62049694 / +86-15804325460
이메일: jlstzcjfwzx@163.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