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공 및 식품
길림시 표준화 육우 사육 시범단지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본 프로젝트의 부지 면적은 총 50만 평방미터이고, 완공 후 연간 1만 마리의 육우를 출하할 예정이다.
2019년, ‘화전황우’는 중국 농업 브랜드 디렉토리에 농산물 지역 공동 브랜드로 선정되었다. 2020년에는 화전시가 ‘화전황우’의 중국 특색 농산물 우세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화전황우는 초지 사육 기간이 10~18개월이며, 곡물 사육 기간은 500일로, 이 기간 동안 지방이 근육 섬유 조직 사이에 침착되어 적백상 조화를 이루며 대리석 무늬와 유사한 고기 조직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급 품질의 소고기는 200g당 시장 가격이 70~80위안에 달한다. 우수한 품질 덕분에 ‘화전황우’는 상당한 시장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기존의 전통적인 사육 방식과 차별화하여 맞춤형 사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입양 및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길림시 내 농가 체험 마을 및 관광지와 협력하여 관람 서비스 및 특색 있는 육우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1.1.2 시장 전망
(1) 육우 산업의 시장 현황
육우 산업은 축산업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주로 육우 사육, 도축, 가공 및 판매에 집중한다. 글로벌 육류 소비 구조의 변화와 소비자의 건강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저지방·고단백 건강식품으로서의 소고기에 대한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주민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소고기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육우 사육 산업의 빠른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육우는 주로 아시아(39%), 인도(30.3%), 남미(30.1%), 브라질(26.1%)에 집중되어 있다. 육우 출하량 기준 상위 10개 국가는 중국, 인도, 브라질, 미국, 유럽연합(EU),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이다. 세계 소고기 생산량 기준 상위 10개 국가는 미국, 브라질, 유럽연합, 중국, 인도, 아르헨티나, 멕시코, 호주, 캐나다, 러시아다. 소고기 소비량을 보면, 세계 평균 1인당 연간 소고기 소비량은 4.4kg이며, 아르헨티나는 연간 1인당 64kg을 소비하는 반면, 중국의 1인당 소비량은 아직 10kg에도 미치지 못한다.
중국의 육우 사육 산업은 중원, 동북, 서남, 서북의 네 개 주요 생산 지역으로 구분된다. 현재 중국의 육우 사육은 운남, 귀주, 사천 등 서남 지역, 신강, 감숙, 청해 등 서북 지역, 흑룡강, 길림, 요녕, 내몽골 등 동북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의 경제 수준이 빠르게 향상되고, 노동 비용이 상승하며, 환경 보호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육우 산업의 지역 분포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중원 지역 중심의 사육 구조에서 점차 동북, 서북, 서남 지역으로 중심이 이동하는 추세를 보인다.
중국은 세계적인 육우 사육 및 소고기 생산 대국으로, 최근 몇 년간 육우 출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2030년 중국 육우 사육 산업 전망 및 전략적 투자 기회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육우 출하량은 5,023만 마리로 전년 대비 183만 마리(3.8%) 증가했으며,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출하량을 기록했다. 특히, 매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처음으로 5,000만 마리를 돌파했다.
육우 사육 기술의 발전과 생산 관리 수준의 향상으로 중국의 소고기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2030년 중국 육우 사육 산업 전망 및 전략적 투자 기회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소고기 생산량은 753만 톤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2) 육우 산업의 시장 현황
2024년 6월 이후, 중국 내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소고기 평균 도매 가격이 kg당 약 61위안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이는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시장의 수급 조정뿐만 아니라, 육우 산업의 과잉 생산과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현재 시장 상황이 다소 침체되어 있지만, 중국의 육우 산업은 여전히 방대한 시장 규모와 넓은 성장 가능성을 갖추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육우 산업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재정 보조금, 금융 지원, 기술 교육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도입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산둥성 양신현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육우 산업이 집적화되어 있으며, 이들 지역은 완비된 산업 인프라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육우 산업의 발전을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중국의 육우 사육 품종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도입 품종으로는 시멘탈(Simmental) 소, 샤롤레(Charolais) 소, 리무진(Limousin) 소 등이 있으며, 중국 토종 품종으로는 남양우(南陽牛), 루시우(魯西牛) 등이 있다. 각 품종은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시장에서 다양한 소고기 제품을 공급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기술 발전에 따라 육우 사육 기술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사료 배합 최적화, 질병 예방 및 관리 기술 향상, 사육 환경 개선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면서 육우의 생존율과 육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소고기 소비 측면에서 보면, 식생활 구조의 변화와 업그레이드에 따라 소고기 소비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육우 사육 주기가 길고, 생산 비용이 높으며, 산업 발전 방식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어 장기간 동안 수입 소고기에 의존하여 국내 수요 부족을 보충해왔다. 현재 수입 소고기는 전체 소비량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잠재력이 점차 해소되고 소비 구조가 지속적으로 고급화됨에 따라, 소고기는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소비 수요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소비 전망으로 볼 때 내수 시장의 성장과 소비 구조의 고급화가 지속되면서, 소고기와 양고기는 고품질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소고기의 육류 소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예측에 따르면, 2030년까지 중국의 소고기 소비량은 1,048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1.13%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3) 길림성 육우 산업 현황
2024년 상반기, 길림성의 육우 사육 두수는 604.4만 마리에 달하며 전년 대비 12% 증가했고, 이는 전국 평균 성장률보다 14%p 높은 수치로 동북 3성에서 1위를 차지한다. 도축량은 22.1만 마리로 전년 대비 123% 증가했으며, 육우 전 산업 체인의 총 생산 가치는 1,205.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1% 성장했다. 현재 ‘길우(吉牛) 중국우(中国牛)’는 우량 종자 번식, 사육, 거래, 도축 및 정밀 가공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산업 체계를 구축했으며, 총량 규모, 품질 표준, 종축 육성 등 여러 측면에서 전국을 선도하고 있다.
길림성은 오랫동안 중국의 중요한 ‘육류 공급 기지’였으나, 육우 산업의 가치사슬이 짧아 대부분의 육우가 생체로 외부로 반출되어 판매되었고, 이로 인해 부가가치가 낮고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 능력이 취약했다. 이에 길림성은 시장 중심의 발전 전략을 채택하고, 과학기술 지원을 강화하여 산업 가치사슬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다.
종의 자원 강점을 활용하고 있다. 길림성은 국가 육우 핵심 육종 기지로서, 길림성신목과학기술유한공사는 배아 이식 등 신기술을 활용하여 매년 수천 개의 육우 배아와 수백만 개의 고품질 동결 정액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길림성은 연구기관 및 대학과 협력하여 육우 종자 산업 혁신센터를 설립하고, 연변황우, 초원홍우, 워진흑우 등의 특색 있는 품종을 육성하고 품질을 향상하는 데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길림성은 도축 증가 보조금 정책을 통해 기업들이 도축 및 가공 사업을 확대하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콜드체인 물류 창고 시설 건설을 포함한 16개 정책 지원금을 기업 및 연구 기관에 직접 투입하여 정밀 가공 연구 및 사업 확장을 유도하고 있다. 1·2·3차 산업 융합을 성장 엔진으로 삼아, 길림성의 육우 산업은 기존의 ‘생체 소 판매’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전 산업 가치사슬로의 고도화를 실현하고 있다.
1.1.3 기술 분석
길림성에는 육우 사육 기업이 집중되어 있으며, 본 프로젝트의 설계 및 건설 기술은 선진적이고 성숙하며 안정적이어서 원활한 프로젝트 수행을 보장할 수 있다.
1.1.4 프로젝트 건설의 유리한 조건
(1) 정책적 우위
《육우 및 낙농업 생산 안정적 발전 촉진에 관한 통지》에서는 육우 번식용 기초 암소 확대 및 품질 향상 사업을 가속화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선증가 후보조, 송아지 확인 후 암소 보조’ 방식으로, 육우 기초 암소를 사육하고 우수한 종모우(種公牛) 동결 정액을 사용하는 농가 및 사육장을 적극 지원하여 기초 암우군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암소의 번식 성능과 번식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1·2·3차 산업 융합 발전을 촉진한다. 각 지역에서는 육우 및 낙농업을 주력 산업으로 하는 현대 농업 산업단지와 특화 산업 클러스터 프로젝트를 조성하여, 사료 경작·수확·저장, 육우 사육, 도축, 가공 등 전 산업 가치사슬 발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통해 사료 경작·저장 및 사육 단계에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고, 농축산업 종사자의 소득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2021년 9월, 길림성 정부가 발표한 《‘볏짚을 고기로’전환 및 천만 두 육우 건설 프로젝트 시행 의견》에서는 2025년까지 길림성의 육우 사육 규모를 1,000만 마리까지 확대할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중, 사육 마릿수는 600만 마리, 출하 마릿수는 400만 마리이며, 육우 전 산업 가치사슬의 총 생산 가치는 2,500억 위안에 이루었다.
《길림성 인민정부 농산물 가공업 및 식품 산업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에서는 ‘연변황우’, ‘초원홍우’ 등의 브랜드 가치를 적극 활용하고, 도축·가공 및 조리 가공 산업을 강화하며, 가죽 제품, 바이오 의약품 등의 산업 가치사슬 확장을 가속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
《화전시 육우 전 산업 가치사슬 발전 지원 시행 의견(시행안)》에서는 ‘산업 가치사슬 확장, 보완, 강화’를 목표로 국가급 육우 전 산업 가치사슬 표준화 시범단지 구축을 가속화하고, 화전시를 ‘육우 대군’에서 ‘육우 강군’으로 발전시켜 육우 산업의 고품질 성장을 실현할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5년 말까지 화전시의 육우 사육 두수는 37만 마리에 도달하며 육우 전 산업 가치사슬의 총 생산 가치는 45억 위안에 이르렀다.
《화전시 투자 유치 최적화 시행 방안》에서는 광물 가공, 신재생에너지 및 신소재, 현대 농업, 의약·보건, 생태 관광 및 빙설 산업 등 5개 주요 산업 가치사슬별 투자 유치 전담반을 설립하고, 경영 환경 개선 및 최적화를 위한 특별 조치를 추진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행정 서비스, 시장 운영, 생산 요소, 법치 환경, 개방성, 신용 관리 등 ‘6대 환경’을 최적화하고, 모든 행정 절차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행정 서비스 센터의 입주율을 99.24%까지 향상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전시 프로젝트 건설 ‘사위일체, 오항연보’ 업무 방안》에서는 시급 지도자를 ‘비서장’으로 하는 특별 서비스 팀의 업무 임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실무를 잘 이해하고 역량이 뛰어나며 책임감이 강한 부향·국(副乡局)급 이상 지도 간부를 프로젝트 비서로 선발하여, 프로젝트의 사전 절차를 주관·대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착공부터 준공 및 가동까지 고표준·전방위·심층적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자원적 우위
2023년, 화전시의 산업 구조가 지속적으로 최적화되었으며, 대두(콩), 찰옥수수, 육우 등 3대 주력 산업이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 대두 재배 면적은 40.6% 증가했으며, 찰옥수수 가공 능력은 1억 1천만 개에 도달했다. 육우 사육 두수는 30만 마리로 전년 대비 14.06%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화전시는 농업·농촌 우선 발전 전략을 견지하며, 전 지역의 곡물 작물 파종 면적을 194만 묘에 도달하도록 추진했다.
2024년 화전시 국유 건설용지 공급 총량은 224.56헥타르로 계획되었으며, 이 중 상업·서비스용지는 10.57헥타르, 공업·광업·물류창고용지는 76.42헥타르, 주거용지는 19.48헥타르, 공공관리 및 공공서비스용지는 4.5헥타르, 교통·운송용지는 113.59헥타르로 배정되었다.
또한, 화전시는 453,121.93헥타르(약 679.67만 묘)의 임야(林地)와 938.53헥타르(약 1.41만 묘)의 초지를 보유하고 있다. 화전시는 경작지가 부족하지만 임야 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100여 년 전부터 방목(放牧) 전통이 자리 잡고 있었다.
화전시는 개발 가능한 토지 자원이 풍부하며, 신규 용지 및 예비 용지가 충분하여 신규 프로젝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토지 가격이 동북 지역 41개 도시 중에서도 저렴한 수준에 속한다.
(3) 인재 우위
길림시에는 동북전력대학교, 길림화공학원, 북화대학교, 길림농업과기학원, 길림의약학원, 길림전자정보직업기술학원, 길림공업직업기술학원, 길림철도직업기술학원, 길림통용항공직업기술학원 등 다수의 고등 교육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들은 생산 기업에 지속적인 인재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풍부한 실무 경험과 높은 기술 수준, 그리고 혁신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생산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생산 효율과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술 혁신과 제품 연구개발(R&D)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지원한다.
또한, 길림시는 숙련된 산업 인력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직업 교육을 통해 매년 1만 명 이상의 기술형 인재를 배출하고, 연간 2만 명 이상의 다양한 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숙련된 기술 인력 비율이 동북 3성 내 주요 도시들 가운데 높은 편에 속한다. 현재 길림시는 인구 보너스기(人口紅利期)에 접어들었으며, 노동력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다양한 기업의 인력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
(4) 지리적·교통 우위
화전시는 사방으로 연결된 종합 교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서쪽으로 반석시까지 67km, 북쪽으로 길림시까지 110km, 성도인 장춘시까지 240km 거리에 위치하여, 주요 도시와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현재 총 663개의 도로가 개설되었으며, 통행 가능 도로 총연장은 3188.58km에 달한다. 이 중 고등급 포장 도로는 274개 노선, 총연장 1198.91km에 달한다. 그 중 성급 간선도로가 3개 노선으로 264.44km(고등급 도로 3개 노선, 174.26km) 이며, 시·현급 도로가 4개 노선으로 202.57km(고등급 도로 4개 노선, 188.13km)이며, 전용 도로가 64개 노선으로 795.46km(고등급 도로 2개 노선, 18km)이고, 향급 도로가 91개 노선으로 763.61km(고등급 도로 70개 노선, 543.4km)이며, 촌급 도로가 501개 노선으로 1162.5km(고등급 도로 195개 노선, 275.12km)이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1.2.1 건설 규모
본 프로젝트의 총 부지 면적은 50만 평방미터이며, 설계 생산 능력 달성 후 연간 1만 마리의 육우를 출하할 예정이다.
1.2.2 건설 내용
본 프로젝트의 총 건축 면적은 11만 평방미터이며, 주요 건설 내용으로는 10만 평방미터 규모의 우사(牛舍), 1만 평방미터 규모의 직원 숙소 및 사무용 건물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화된 사료 공급, 급수, 분뇨 청소 시설 등을 도입하며, 체중·질병·발정 등 생체 정보를 스마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능형 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1.3 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1.3.1 프로젝트 총투자
프로젝트 총투자는 3억 위안이고, 그중 건설 투자가 2억 1,900만 위안, 운영 자금이8,100만 위안이다.
1.3.2 자금 조달
기업 자체 조달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 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간 매출액 5억2,632만 위안, 연간 순이익은 6,579만 위안, 투자회수기 7.7년(납세 이후, 건설 기간 2년 포함), 투자 수익률은 21.9%이다.
1.4.2 사회적 평가
프로젝트가 건설되면 규모양식의 표준을 제고하고 품질을 보장하며 브랜드를 창조하고 양식 개인농가의 양식표준의 불일치 등 상황을 종식시켜 천가만호의 소생산이 질서있는 발전궤도에 진입하도록 하고 경제효익을 증가시킬 것이다. 프로젝트 건설은 지린성의 농업 목축업에 대한 견인과 촉진 작용이 있으며 향촌 진흥 전략의 착지 실시를 돕는데 유리하다.
1.5 협력 방식
합자·합작, 기타 방식은 협의 가능.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본, 기타 방식은 협의 가능.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길림시 화전시 영길가도 손가둔촌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해외 투자 유치 진행 중
2. 협력측 소개
2.1 기본 정보
명칭: 화전시 인민정부
주소: 중국 길림성 길림시 화전시
2.2 개황
화전시는 1개의 성급 경제개발구, 5개의 가도, 9개의 향진을 관할하며, 총인구는 약 34.13만 명이다. 시 전체 인구는 한족을 주류로 한다. 2001년 3월, 화전시는 길림시 정부로부터 중형 도시 건설 시범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일부 지급 행정 관리 권한을 부여받았다.
화전시 도심은 화전시의 중남부, 휘발하 유역에 위치하며, 지형이 평탄하고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다. 이곳은 화전시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이며, 도심 개발 면적은 15km²에 달한다.
화전시 경제개발구는 도심 북서부에 위치하며, 계획 면적은 6.29km², 7개의 행정촌을 관할하고 있다.
2023년, 화전시의 지역 총생산(GDP)은 112.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하였다. 그 중 1차 산업(농업 등) 부가가치는 35.4억 위안(+4.1%)이고, 2차 산업(제조·건설 등) 부가가치는 27.2억 위안(+18.4%)이며, 3차 산업(서비스업 등) 부가가치: 49.7억 위안(+7%)산업별이다. 산업 구조 비율은 31.5 : 24.2 : 44.3이다.
2.3 연락처
우편번호: 132000
연락인: 장호
연락번호: +86-432-66221983 / +86-13331700111
이메일: swjxmk66221983@163.com
프로젝트 소재시(주) 연락처
연락부처: 길림시 상무국 투자 촉진 서비스 센터
연락인: 강우수
연락번호: +86-432-62049694 / +86-15804325460
이메일: jlstzcjfwzx@163.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