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공 및 식품
연변주 연간 생산량 5000톤의 견과류 가공 프로젝트
1.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견과류는 닫힌 과일의 한 부류로, 껍질이 단단하고, 안에는 1알 또는 여러 알의 종자(예: 밤, 아몬드 등의 열매)가 들어 있다. 견과류는 식물의 정수(精華)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영양이 풍부하며 단백질, 유지(油脂), 미네랄,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인체의 성장 발달, 체질 강화, 질병 예방에 매우 좋은 효능이 있다. 권위 있는 기관의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견과류를 섭취하면 치명적인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감소할 수 있는바 이는 미국 의사 건강연구 프로그램에서 2만 명의 남성을 조사한 정확한 결과이다.
프로젝트는 안도현에 건설될 예정이며, 안도현의 삼림피복 면적이 크고 견과류 생산량이 풍부한 자원적 우세를 바탕으로 견과류 가공 프로젝트를 건설할 예정이다.
1.1.2 시장전망
(1) 잣 시장 전망 분석
잣은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독특한 견과류로 시장수요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사람들이 점점 더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수준의 향상을 중시함에 따라, 잣은 건강식품으로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잣의 적용 범위는 광범위하여 직접 섭취하는 것 외에도 잣 과자, 잣 설탕 등 다양한 식품으로 가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시장규모 측면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잣 산업의 생산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향후 몇 년 동안 안정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에 따르면 잣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왕성하며, 특히 건강식품 분야에서 잣은 높은 영양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재배기술의 진보와 생산지역 배치가 최적화됨에 따라, 잣의 생산량은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공급이 충분하다. 잣 업계도 끊임없이 혁신을 거듭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맛과 형태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수출 측면에서는 중국은 세계 최대 잣 수출국으로서 국제 시장에서 매우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수출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잣 산업은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점점 더 많은 생산자들이 업계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성에 중시를 돌리기 시작했다.
잣 산업 체인은 앞으로도 더욱 개선될 것이다. 상류의 소나무 재배와 수확부터 중류의 가공과 판매, 그리고 하류의 도매와 소매에 이르기까지 전체 산업 체인은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야 할 것 이다. 정부는 또한 잣 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재배 보조금을 제공하고 품질 기준을 수립하는 등의 정책 조치를 제공하여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제품혁신과 브랜드화 경영은 잣산업의 중요한 추세가 될 것이다.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잣 업계는 잣 기름, 잣 소스 등 심가공 제품과 다양한 맛의 잣 간식과 같은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브랜드화 경영도 향후 잣 산업 발전의 필연적 추세가 될 것이며, 브랜드 구축과 마케팅을 강화하여 브랜드 인지도와 명성을 높여 더 많은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것이다.
뿐만아니라 국제시장 확장도 잣 산업의 중요한 발전방향이다. 세계 최대의 잣 수출국으로서, 중국 제품은 국제시장에서 매우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중국에서 생산되는 잣은 지속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 갈 것이며 특히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지역에서 글로벌 소비자들의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 줄 것이다.
2024년, 잣의 미래 발전 전망은 매우 넓으며,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산업체인이 진일보로 완벽해 졌으며, 제품혁신과 브랜드화 경영이 중요한 추세로 되었다. 국제시장 확장도 산업에 새로운 성장점을 가져왔다. 그러나 잣 산업도 공급망 관리, 품질 관리 및 시장 경쟁 등과 같은 몇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업계 각계각층이 함께 노력하고 대응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2) 호두 시장 전경 분석
중국은 글로벌 호두 주요 생산국으로서 최근 몇 년 동안 호두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모두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생산지역은 신강, 운남, 산서, 섬서 등에 집중되어 있다. 이같은 지역의 호두재배는 역사가 유구하고, 품종이 다양하며 각기 특색이 있다. 농업과학기술의 진보함에 따라 호두 품종 개량작업은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품질이 우수하고 생산량이 높은 새로운 품종이 많이 등장했다. 그러나 시장에는 여전히 품질이 천차만별인 호두 제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품질관리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시장 수요 측면에서, 소비자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추구함에 따라, 호두는 영양이 풍부한 견과류로서, 시장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 지역과 젊은이들 사이에서 호두 소비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국내 호두 시장가격은 생산량, 시장 수요, 재고, 정책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최근 몇 년간 가격 변동이 크다.
앞으로 국내 호두시장은 다음과 같은 발전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품종 최적화와 기술혁신은 호두 산업발전을 추진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다. 재배업자는 과학적 재배와 관리를 더욱 중시하며 현대 농업기술을 적용하여 호두의 생산량과 품질을 높일 것이다. 동시에, 호두 심층가공 산업에서도 끊임없이 혁신을 거듭하여, 더 많은 시장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할 것이다. 두 번째는 심가공의 발전이 호두시장의 폭과 깊이를 넓힐 것이다. 기술 혁신과 산업 업그레이드를 통해 호두 심가공 제품의 품질과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셋째, 브랜드 구축과 마케팅 혁신은 호두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유명 브랜드와 특색제품을 만들어 제품의 부가가치와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동시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판매 채널을 활용하여 시장 커버리지를 넓히고 제품의 인지도와 명성을 높일 것이다.
(3) 헤이즐넛의 시장전망 분석
2022년 통계에 따르면 헤이즐넛 시장의 밸류에이션은 약 100.6억 달러이다. 예비 예측에 따르면 이 시장은 2023년 부터 2029년 까지 8.7%의 연평균 성장률로 계속 성장할 것이며 2029년 까지 약 180.4억 달러의 시장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도 중국에서 껍질이 있는 헤이즐넛 생산량은 6만 톤에 달했으며, 2025년 에는 7.5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 헤이즐넛 생산량의 안정적인 증가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헤이즐넛 생산국일 뿐만 아니라 주요 헤이즐넛 수입국 중 하나로, 주로 터키와 미국 등 국가에서 대량의 헤이즐넛을 수입하여 국내시장 수요를 충족시킨다.
헤이즐넛은 계암이라고도 불리며, 전 세계 4대 견과류 중 하나로,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영양가와 경제적 가치가 높은 목본 유지 식물로서 헤이즐넛은 식용유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장 수요가 비교적 높다. 시장 전망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헤이즐넛은 주로 야생 형태로 존재하며, 아직 대규모적 재배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현재 헤이즐넛은 주로 중국의 동북, 화북, 서남 등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 동북지역의 생산량이 비교적 높다.
헤이즐넛은 영양가가 풍부한 견과류로서 전 세계적으로 안정적인 소비 수요를 가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건강식품에 대한 중시도가 날로 높아짐에 따라 천연식품과 견과류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헤이즐넛은 영양가가 높은 식재료로서 점점 더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헤이즐넛은 식품 가공 분야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초콜릿과 디저트에서 헤이즐넛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의식이 강화됨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은 헤이즐넛 등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헤이즐넛은 간식으로 직접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자, 초콜릿 등 식품의 원료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퀄리티 소비 시장과 레저 간식 시장에서 헤이즐넛 계열 식품에 대한 수요가 특히 강하여 시장 수요의 성장을 더욱 촉진하였다. 중국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헤이즐넛 수입국으로서, 터키와 미국 등 국가로 부터 대량의 헤이즐넛을 수입하여 국내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다. 동시에, 중국 헤이즐넛도 국제시장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품질 헤이즐넛 제품은 국제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안도현 견과류 가공산업은 거대한 발전 잠재력과 넓은 시장 전망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낙관적인 기대는 다방면의 요인이 깊이 융합된 결과이다. 장백산 내륙에 위치한 안도현은, 양질의 잣과 호두 등 풍부한 삼림과수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원재료 등 면에서 견과류 가공에 탄탄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건강식 생활이념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견과류는 영양가 높은 식품으로 시장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산업발전에 강력한 동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장백산의 인지도와 관광 흡인력에 힘입어 견과류 가공 제품을 지역 특색을 지닌 여행상품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판매 채널을 더욱 넓히고 브랜드 가치를 향상하였다. 요약하자면, 안도현 견과류 가공 산업은 원자재 우위, 시장수요 증가, 정책지원, 기술혁신 및 관광 보급 등 여러 요인의 공동 작용으로 넓은 발전 전망과 거대한 시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1.1.3 프로젝트 건설에 유리한 조건
(1) 정책적 우위
<'제14차 5개년 계획' 전국 농산물 생산지 시장 체계 발전 계획>에서는 국가급 특색 농산품 품목 생산시장에 대해 제기하였다. 주로 찻잎, 중약재(한약재), 화훼, 뽕나무, 향신료, 말린 과일(견과류) 등 특색 농산품이 우세한 산지에 국가급 견과류 생산지 시장을 배치하여 특색 농산품의 지역화, 표준화, 녹색화 생산을 추진하고 브랜드 제품을 육성하여 질적 효익과 경쟁력을 높인다.
<길림성 인민정부의 농산품 가공산업 및 식품산업 발전을 가속화 할데 관한 의견>에서 제기하기를 식품, 건강기능식품, 신형의약품 등 제품을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기업이 인수, 합작 등의 방식으로 동일 유형의 기업과 협력하는 것을 장려한다. 길림입쌀, 길림 신선 옥수수, 길림 잡곡 잡콩, 길림 장백산 인삼, 길림 장백산 흑목이, 길림 고품질 축산물, 길림 꽃사슴 등 국내외 시장에서 영향력과 경쟁력을 갖춘 "길자호" 농산품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2) 지역적 우위
안도현은 길림성 동부, 연변주 서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 동북 교통동맥 의 연선지역으로 도로, 철도가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국도, 고속도로, 철도, 고속철도는 안도현 변경의 동북부를 지난다. 안도현에는 두 개의 기차역이 있는데, 하나는 일반 기차역(안도역)이고 다른 하나는 고속철도역(안도서역)이다.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안도현의 대외개방 전망은 매우 넓으며, 안도쌍목봉 국경 출입관리소는 중국-조선 변경의 유일한 국가급 육로항구이다. 또한 현재 건설중인 심백고속철도(沈白高鐵)는 2025년에 정식으로 개통될 예정이며, 완공 후 북경에서 장백산까지의 거리는 4시간으로 단축될 것이다. 이는 안도현의 교통우위를 더욱 높여 주었다.
(3) 자원적 우위
안도현은 장백산 내지에 위치해 있으므로 천연 녹색 보물창고로 불리고 있다. 천혜의 자연자원과 특산자원의 우세가 있으며 산림 피복률은 80% 이상에 달한다. 도랑이 종횡으로 교차하며, 수토 자원이 좋다. 현내에는 홍송림 64,250헥타르, 연간 홍송견과류 1,500톤을 생산한다. 호두림 38,160헥타르, 연간1,246톤을 생산한다. 계암나무 24,380헥타르, 연간 510톤의 헤이즐넛을 생산한다. 해바라기 재배 면적은 1,298헥타르, 연간 2,300톤의 해바라기씨를 생산한다. 안도현 전체에 현지에서 직접 가공을 진행하는 기업이 없다. 대부분 외지로 직접 판매를 하며 이는 자원의 대량 가치가 외부로의 유출을 초래하였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1.2.1 제품 규모
프로젝트는 연간 잣, 호두, 헤이즐넛 견과류 5,000톤을 생산가공 한다.
1.2.2 프로젝트 건설 내용
프로젝트의 총 공장부지 면적은 약 2만 평방미터이며, 주로 연구 개발, 살균 정제 작업장, 견과류 초기가공 작업장, 오픈 가공 작업장, 원료, 완제품 항온 창고 등 인프라 시설 및 부대 시설을 건설한다.
1.3 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프로젝트 총 투자는 10,000만 위안 이며 그중 건설 투자가 8,000만 위안 이다.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 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 평균 매출액5,376만 위안, 이윤 1,613만 위안, 투자회수기 7.2년(납세 이후 건설기간 1년 포함), 투자 수익률 16.13%이다.
1.4.2 사회적 평가
프로젝트 건설은 현지 주민에게 풍부한 취업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고용률의 지속적인 성장을 효과적으로 추진할수 있다. 또한 선진적인 가공 기술과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괄목할만한 견과류 제품이 시장 경쟁력과 품질 향상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시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현지 경제의 번영과 사회의 진보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현지에 더 많은 경제 및 환경적 효익을 가져올 수 있다.
1.5 협력 방식
독자, 합자, 합작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금, 기타 방식 면담 가능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안도현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프로젝트 건의서 작성 완료
2.협력측 소개
2.1 부처 기본 정보
명칭:연변주상무국
주소: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천지로 3322호
2.2 개황
안도현은 길림성의 동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서남쪽에 위치해 있다. 유명한 장백산 주봉과 천지폭포 등 주요 관광지는 현 경계 남부에 위치해 있어 안도는 '장백산 제1현'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다. 현 전체 면적은 7,444평방킬로미터이고, 7개 진과 2개 향을 관할하고 있으며, 총 인구는 21만 명이며, 그 중 조선족 인구가 19.5%를 차지한다. 안도현은 생태환경이 우수하고 자원이 풍부하여 국가급 생태시범구, 국가관광종합개혁시범구, 국가수출품질안전시범구, 중국생태원산지브랜드시범구, 중국녹색한약재수출기지현, 중국광천수의 고향, 중국인삼의 고향, 중국꿀벌의 고향이다. 동시에, 안도현은 중앙정책연구실 빈곤구제 연락지점이며,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전국 유일의 흥변부민(興邊富民)행동 연락소이다.
안도는 생태가 온정하다.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가장 질 좋은 공기, 물, 토양, 식생 등 자연 생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안도현은 동북지역의 생태장벽으로서, 전 현의 산림 피복률은 87%에 달하고, 공기 중 산소 함유 이온 함량은 해남성과 같으며, 입방 센티미터당 10만 개 이상에 달한다. 세계에서 가장 우질적인 광천수 자원이 있고, 지역 내 88개의 하류가 흐른다.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 3강의 발원지이며 비옥한 동북 흑토자원은 진귀하고 풍부한 임해자원을 형성하였다.
안도의 기후는 쾌적하다.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하며, 일년 365일 공기질이 1급이다. 안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연중 평균 기온은 4.3℃, 여름 평균 기온은 19.3℃이다. 마음껏 “산에서 놀고 물에서 체험하며 고향의 향수를 느길 수 있는" 이상적인 피서천국이다. 2017년에는 길림성 10대 피서명소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천년 임해, 만년 시냇물, 청량 목욕, 투안안투(圖安安圖)"라는 별칭이 있다. 겨울 "평균 기온은 -12.7℃로 등산, 눈타기, 빙상운동 등 야외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며, 마음껏 놀며 겨울을 즐길 수 있다.
안도는 정책이 풍부하다. 안도현은 변방 소수민족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국가급 빈곤구제 개발작업 중점현이다. 때문에 서부 대개발, 동북 노공업기지 활성화, 두만강 지역 협력 개발, 민족무역현 등 일련의 '국자호(國字號)' 우대 정책을 누리고 있다.
2.3 연락처
2.3.1 프로젝트 연락처:
연락인: 유건
연락번호: +86-433-5923006
2.3.2 프로젝트 소재시(주) 연락처:
연락부처: 연변주상무국
연락인: 이경우
연락번호: +86-13596515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