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공 및 식품
매하구시 연산 30만 톤의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단세포 단백질 SCP( single cell protein)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소개
1.1 프로젝트 배경
1.1.1 제품 소개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는 바이오매스 섬유 중 다당 성분을 이용하여 효소분해 또는 기타 생명공학 수단 통해 소화 가능한 다당류 형태로 전환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다당류는 소화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가축 및 가금류 사육에서 일부 전통사료 성분을 대체하여 사육비용을 절감하고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단세포단백질(single cell protein,SCP)은 미생물단백질, 균제단백질이라고도 하며, 각종 공업과 농업생산 폐기물 및 기타 양분을 이용하여 세균, 효모, 미세조류 등 단 세포생물 및 곰팜이 등 구조가 단순한 다세포생물 대규모로 배양하여 얻은 단백질 자원이다. 이는 직접 사람과 동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될 수 있으며 인류가 식용하는 가축사료에 첨가 할 수 있다.
단세포 단백질 사료의 생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생산 원료가 풍부하고 폐기물을 보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유기 쓰레기, 양조업 및 전분 가공 공업에서 산생되는 폐액, 펄프, 당밀 등은 모두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생산설비가 비교적 간단하고 생산주기가 빠르며 효율이 높다. 예를 들어 적절한 조건에서 박테리아는 한시간, 효모는 세시간, 미세조류는 6시간이면 두 배로 증식할 수 있다.
프로젝트 건설 장소는 매하구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짚 등 농업, 임업 잔여물을 원료로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단세포 단백질을 생산함으로서 종합 순환이용을 실현, 사료기업의 비용을 절감한다.
1.1.2 시장전망
(1) 중국 공업 사료 시장 정황
중국에서 사료 집약화, 규모화의 발전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사료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의 사료 총 생산량은 23,763만 톤에서 32,162.7만 톤으로 증가했다.
생돼지 생산 능력을 최적화 상태로 조정하고 축산물 소비가 잠시 예상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은 등 복합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사료 생산량이 높은 수준에서 하향 조정되었다. 전국 공업사료 총생산량은 14,539만 톤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다. 그 중 복합사료, 농축사료, 첨가제 프리믹스사료 생산량은 각각 전년 대비 4.0%, 10.8%, 0.7% 감소했다.
사료업계에서 사료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는 옥수수, 콩, 어분 등 대량의 상품이 포함된다. 이는 또한 사료제품 생산비의 주요 구성 부분임으로 상류 주요 원자재의 가격 변동은 생산비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24년 상반기, 옥수수, 콩지개미 등 주요 사료 원료 가격이 대폭 하락하였다. 사료기업에서 옥수수, 콩지개미 구매 평균가격은 각각 2,524위안/톤, 3,680위안/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13.2%, 17.0% 하락하였다. 지게미류 가격 효과에 힘입어 면박(棉粕)과 채박(菜粕) 가격은 각각 톤당 3,746위안, 톤당 2,841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1%, 14.6% 하락했다. 2023년 페루 어획 중단의 영향으로 수입 어분 가격이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바람에 상반기 평균 구매 가격은 톤당 14,697위안으로 전년 대비 8.6% 상승했다. 아미노산 시장은 주요하게 넘치는 상태였고 비타민, 미네랄 원소는 약세로 운영되고 있다.
(2)중국 짚 사료화 시장
중국은 세계 축목 제1대국인 동시에 사료량 수요 역시 제1대국이다. 량식안전을 담보하려면 식량의 안전과 사료의 안전을 모두 보장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식량 수입량이 계속 늘어나고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중국 사료식량 안전은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당의 제20차 대회 보고에서 제기하기를 전방위적으로 식량안전의 근간을 다지고 중국인의 밥그릇이 스스로의 손에 단단히 쥐어질 수 있도록 담보해야 한다고 하였다. 중국 주민의 생활소비 수준이 점차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이 곡물 식용에 대한 소비는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육류, 계란, 우유에 대한 소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국민들이 기본적으로 먹을수 있는 식량은 대체적으로 안전하다. 때문에 량식 안전의 근본은 사료 식량 안전에 있다. 현재 양식단(養殖端)의 주요 사료 원료는 옥수수와 콩지개미이며, 매년 수입되는 옥수수와 대두의 90% 이상이 사료로 사용된다. 옥수수와 콩지개미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이 너무 높을 경우, 밀, 벼 등 곡물로 대체하는데 이는 먹거리 식량에 위협이 된다. 따라서 사료 식량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농업안보와 식량 안전을 보장하는 핵심이다.
중국의 식량 총 생산량은 이미 수년 연속으로 6.5억 톤 이상을 기록하며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그중 사료 사용 점유율이 비교적 크다. 2023년 중국에서 생산된 식량 중 사료로 사용된 소비량은 3.95억 톤으로 식량 소비 총액의 48%를 차지하였다. 이는 먹거리 식량 소비 33%, 공업용 소비 17% 보다 현저히 높다. 2035년 육류, 계란, 우유 소비 수요 예측에 따르면, 중국은 2035년에 이르러 사료에 주로 사용되는 옥수수와 대두 수요가 각각 3.44억 톤과 1.38억 톤으로 증가될 것이다. 또한 사료 공급 격차는 7,600만 톤 이상에 달한다. 중국 국정과 자원의 제약으로 인한 국산 옥수수, 대두 경작지 면적 변화, 품종 단일 생산 등의 요인의 영향을 받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중국 양식업이 수입 대두, 옥수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으로 인해 산생되는 식량안전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농촌부는 축산 양식의 "저단백 사료"와 "옥수수, 콩지개미 감량 대체" 행동 방안을 제시했다.
식량경제작물 재배생산대국으로서 중국는 풍부한 짚자원을 가지고 있다.짚에는 섬유질, 조단백질 등 영양물질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소와 양 등 초식동물에게 좋은 조사료 자원으로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옥수수 짚에 들어 있는 중성 세척섬유함량이69.1%-82.5%, 산성 세척섬유 함량이 37.2%-47.1%, 조단백질(粗蛋白) 함량이 4.9%-8.7%, 조지방(粗脂肪) 함량이 1.4%-1.7%이다. 이는 모두 소와 양에게 없어서는 안될 "오곡 잡곡"이다. 만약 과학적인 기술가공으로 영양과 품질을 높인다면 이는 앞으로 우질적인 사료를 대체하여 초식 동물의 '주식'으로 될 것이라 기대해 볼 수 있다.
짚사료화는 이미 중요한 짚농용방식이 되었으며, 양질의 사료 격차를 메우고, 축산물 공급을 보장하며, 재배업과 양식업의 효율적인 결합을 추진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3년, 전국 짚 생산량은 10.5억 톤, 수집 가능량은 7.37억 톤, 짚 사료화의 연간 사용량은 1.86억 톤으로 전체 사용량의 20.7%를 차지한다.
농작물 짚의 조섬유(粗纖維) 함량은 일반적으로 65%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그 구성은 주로 셀룰로오스, 반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세 가지 주요 성분(그 중 셀룰로오스와 반셀룰로오스는 전분과 유사하며 포도당, 자알리톨 등 다양한 환원당으로 구성된 다당류)을 포함한다. 이 세 가지 성분은 그물 모양 구조로 자연미생물의 분해에 저항한다. 때문에 짚에 함유된 환원당은 생물학적으로 이용되기 어렵다.
현재 짚의 이용은 기본적으로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부동한 입자 크기로 만들어 직접 사료에 첨가하여 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생물이용효율이 매우 낮다. 단위동물 중에는 목질 섬유 효소 계통이 부족하여, 기본적으로 이용되지 않있으며 일부 후장피미생물에만 이용된다. 반추동물의 반추위에는 섬유소 효소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짚의 촘촘한 분해 방지 구조로 인해 반추동물의 반추위에서도 분해 효율이 낮고 일반적으로 30%를 넘지 못하며 생물학적 이용률은 여전히 낮다.
프로젝트는 짚 등 농업, 임업 잔여물을 원료로 바이오매스 에틸라이제 기술과 고단백 균종 선택 육종 및 고고도 연속발효기술(高固連續發酵技術)을 채용하여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단세포 단백질 (SCP)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종합순환이용을 실현하고 사료기업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시장 전망이 아주 넓다.
1.1.3 기술분석
프로젝트는 중국과학원 천진(天津)연구소에서 개발한 바이오매스 에틸라이제 기술(짚 구조 효소 분해 전환 기술)과 고단백 균종 선택 육종 및 고고도 연속발효기술을 통합하고, 폭수(爆收), 효소 분해, 발효 등 사전 처리 공정을 통해 짚 등 농림 폐기물 이용 난제를 해결했으며, 농림 짚 잔여물을 기반으로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단세포 단백질 (SCP)을 생산하는 프로젝트 선진 기술 체계를 건립하였다.
1.1.4 프로젝트 건설에 유리한 조건
(1)정책적 우위
< ‘제14차 5개년 계획’ 대량의 고체 폐기물 종합 이용에 관한 지도의견>에서 제기하기를 짚 종합 이용을 적극 추진하고 짚 종합 이용 산업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 증대를 추진하여야 한다. 농업용 우선으로 하는 방침을 견지하며 짚의 비료화, 사료화 및 기재화 이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짚 경작지 보전과 재배업과 양식업 결합 기능을 잘 발휘하여야 한다.
<2030년 이전 탄소피크 행동계획>에서 제기하기를 짚의 고가치화 이용을 가속화하고, 수거, 저장, 운송 시스템을 개선하며 엄격한 연소 금지 관리 공제를 실시한다. 2025년까지 대량 고체 폐기물의 연간 이용량은 40억 톤 정도이며, 2030년에는 45억 톤 정도에 달할 것이다. 농작물 짚 종합 이용과 가축 분뇨 자원화 이용을 강화한다.
2021년 3월, 농업농촌부 축목수의국은 <옥수수 콩지개미 감량 대체 작업 추진에 관한 통지>를 발표하고 중점적으로 <사료 중 옥수수 콩지개미 감량 대체 작업 방안>을 하달하였다. 방안에서는 곡물과 잡박으로 사료 중 옥수수 콩지개미 함량을 감축 대체하는 것을 추진하며 임무 구분과 일정을 명확히 하고, 3월 말까지 제조법을 내놓고, 4월 말까지 보급 목표를 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2023년 농업농촌부 사무처는 <사료용 콩지개미 감량 대체 3년 행동 방안>을 발행하여 사료용 콩지개미 감량 대체 행동을 시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중국의 국정과 자원 특성에 맞는 사료 제조법 구조를 구축하여 초보적으로 이용가능한 사료자원 데이터베이스 체계, 저단백 고품질 사료 표준체계, 고효율 사료 가공 응용 기술 체계, 사료 절곡(節糧) 정책지원 체계를 형성하여 축산 및 가금류 양식사료 전환 효율을 현저히 향상하고 양식업의 식량 절약 및 소비 절감에서 선명한 성과를 거두어 '일감량 이증(一降兩增)'을 실현하였다. 저단백일량(低蛋白日糧) 기술을 적용하고, 사료 정밀 제조법과 정밀 가공 공정을 채용하여, 합성 아미노산, 효소 제제 등 고효율 사료 첨가제를 배합하여 사용하여 돼지와 가금류 등 배합사료의 단백질 함량 수요를 줄이고 사료 단백질 소모를 감소하였으며 효율적으로 사료 단백질 이용 효율을 높였다.
(2) 지역적 교통우위
매하구 입지 우위가 두드러지다. 동북지역의 중요한 지역 중심도시로 길림성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북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자 상업 도시의 중요한 요충지이다. 나아가 길림성 중부와 동부의 중요한 노드 도시이자 동남부 지역 중심 도시이다. 장춘, 길림, 사평 3개 도시와 함께 길림성의 4개 중요한 노드를 형성하며 길림성과 요녕성 두개 성의 10개 이상의현과 융합 발전태세를 형성, 주변의 400만 이상 인구를 복사(輻射)범위 내에서 이끌고 있다.
(3) 자원적 우위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매하구는 토지 사용, 프로젝트 심사, 산업 발전 등 면에서에서 고신구에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하고 선행 시험을 윤허하였다. 또한 토지관리의 유연성을 강화하는데 힘씀으로서 프로젝트 건설에 충분한 건설용지를 제공하였다.
매하구시의 식량파종면적이 10.9만 헥타르이며, 그 중 벼 2.82만 헥타르, 옥수수 7.81만 헥타르, 콩 0.2만 헥타르, 감자 0.07만 헥타르를 차지한다. 이는 프로젝트 건설에 충분한 원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하구시는 농작물 짚 종합 이용 추진을 생태순환 농업발전의 주력점으로 삼고 짚 종합 이용 메커니즘 구축과 산업육성을 잘 파악하여 짚 비료화, 에너지화, 사료화, 원료화 전환 및 이용을 추진하여 프로젝트 건설에 효과적인 보장을 제공하였다.
(4) 산업적 우위
2023년, 매하구시 축산 개발 총량은 874.47만 마리(마리)였다. 그 중 생돼지 출하량 20.33만 마리, 재고 13.71만 마리; 가금류 출하량 621.45만 마리, 재고 209.8만 마리; 소 출하량 3.59만 마리, 재고 3.98만 마리; 양 출하량 0.76만 마리, 재고 0.82만 마리이다. 연말 담수 양식 생산량은 5,986톤으로 치어(魚苗)생산량 39,200톤, 금년도 봄 어획 출하량 442톤이며 가을철 일정한 크기에 도달한 어종을 잡아 동계 연못으로의 이동량은 411톤이다. 이는 프로젝트 건설을 위해 견고한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1.2 프로젝트 건설 내용 및 규모
1.2.1 제품 규모
프로젝트 가동 후, 년간 30만 톤의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SCP을 생산할 수 있다.
1.2.2. 프로젝트 건설내용
프로젝트 부지면적은 200무이며, 건축면적은 11,000평방미터, 주요하게 생산 공장건물, 창고건물 등을 건설하고 상응한 생산설비를 구입한다.
1.3프로젝트 총투자 및 자금조달
1.3.1프로젝트 총 투자
본 프로젝트 총 투자는 38,000만 위안, 그중 거설투자가 30,400만 위안, 유동자금 7,600만 위안이다.
1.3.2 자금조달
기업 자체 조달
1.4 재무분석 및 사회적 평가
1.4.1 주요 재무지표
프로젝트가 설계 생산 능력의 생산량에 도달한 후, 연 평균 매출액은 44,500만 위안, 이윤 6,300만 위안, 투자히수기 8.1년(납세 이후, 건설기간 2년 포함), 투자수익률 16.6%이다.
1.4.2 사회적 평가
프로젝트 건설을 통해 바이오매스 섬유 소화성 다당류 및 단세포 단백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옥수수, 콩지개미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동시에 짚 등 농업 임업 잔여물질 순환이용 경로를 늘려 축산업의 녹색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수 있으며 농민의 소득 증대 및 고용을 늘이는데에도 큰 촉진 효과가 있다.
1.5 협력 방식
합자 합작, 기타 방식 면담 가능.
1.6 필요한 외국측 투자 방식
자금, 기타 방식 면담 가능.
1.7 프로젝트 건설 지점
길림성 매하구시.
1.8 프로젝트 진척 상황
대외 투자유치.
2.협력측 소개
2.1 기본 정황
명칭: 길림 매하구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 관리위원회
주소:길림성 통화시 매화구시 광명거리 강미대로 555호
2.2 개황
길림 매하구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의 전신은 2002년 2월에 설립된 매하구 경제무역개발구로 부지면적은 5평방킬로미터이다. 2019년 12월 성정부에 의해 성급 고신구(高新區)로 확정되었으며 총 계획면적은 29.82평방킬로미터이다. 길럼성 성급 개발구 종합 평가에서 1위를 차지 했으며 2020년 길림성 성급 개발구 종합 평가에서 2위를 차지하엿다. 선후하여 ‘국가 횃불 매하구 현대 중의약 특색산업기지’, ‘길림성 의약 하이테크 특색산업 기지 및 의약건강산업 특색단지’, ‘길림성 하이테크 산업 집결구’, ‘전국 최고 투자환경 공업단지’, ‘중국에서 가장 발전 잠재력이 있는 공업 단지’ 등 명예 칭호를 수여 받았다.
매하구 고신구는 "4+3" 산업체계를 깊이있게 시행하고 있다. "오원일성일센터(五園一城一中心)" 산업발전구도를 계획하고, 의약건강산업단지, 건강식품산업단지, 현대물류산업단지, 건축 및 부대시설 산업원, 화학공업단지, 특의식품성(特醫食品城), 동북아견과류집산센터를 건설하였다. 사환제약(四環制藥), 보장제약(步長制藥), 천형제약(天衡醫藥), 로남제약(魯南制藥), 루저우 라오지아오(瀘州老窖), 전화물류(傳化物流) 등 업계 선도기을 성곡적으로 유치하였다. “제13차 5개년 계획” 이래 고정자산 투자 금액420억 위안을 누적 완성했으며 등록 기업이 3,778가구로 증가하였다. 선후하여 국가 횃불 중의약 특색산업 기지, 전국 최고의 투자환경 산업단지, 중국에서 가장 발전 잠재력이 있는 산업단지 등의 명예 칭호를 수상했으며, 전 성 개발구 종합 실력 평가에서 4년 연속으로 전 성에서 상위 2위권 이내를 차지 하였다. 2023년 규모이상기업 총생산액이 103.3억 위안을 달성하였으며 전시의 77.9%를 차지한다.
2.3 연락처
우편번호:135000
담장자:장의진
연락번호:+86-13630716007
E-메일: mhxqjhj@163.com
프로젝트 소재 시 (주) 연락처:
연락단위: 매하구시 상무국
담장자: 목점원
전화: +86-15643552255
+86-435-4326686
E-메일: 4965278@qq.com